[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아르바이트 하는 성인의 과반수가 특정한 직업 없이 아르바이트로만 생활을 꾸려가는 이른바 ‘프리터족’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프리터족은 ‘자유롭다’는 뜻의 영단어 ‘프리(Free)’와 ‘노동자’라는 뜻의 독일어 단어 ‘아르바이터(arbeiter)’를 합성한 말로, ‘버블 경제’가 붕괴된 1990년대 초 일본에서 직장 없이 아르바이트로만 생계를 잇는 청년층에 붙여진 신조어다.
|
 |
|
▲ 알바몬, 성인 56% '프리터족'…1년새 거의 2배 급증/사진=알바몬 제공 |
23일 구직 포털사이트 ‘알바몬’에 따르면 지난 2일부터 21일까지 20세 이상 성인 아르바이트 종사자 105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전체의 56%가 본인이 프리터족이라고 답했다.
작년 6월에 실시한 같은 조사에서 집계된 비율(31.8%)보다 2배 가까이 늘었다.
자신을 프리터족으로 규정한 응답자 가운데 55.8%(329명)은 ‘원하지 않는데 프리터족이 됐다’고 답했다.
프리터족이 된 이유로는 ‘생계비·용돈을 벌기 위해서’라는 응답이 50.5%(이하 복수응답)로 가장 많았고, △취업이 어려워서(38.6%) △조직·사회생활 없이 자유롭게 살고 싶어서(28.6%) △어학연수·대학원 진학 등 특정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16.4%) 등 순이었다.
프리터족이 증가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전체의 59.8%가 ‘너무 어려운 정규직 취업’이라고 밝혔으며, ‘2018년 최저임금이 큰 폭으로 상승했기 때문’이라는 응답의 비율도 47%로 높았다.
알바몬 관계자는 “프리터족은 평균 1.5개의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월 평균 100만원 정도를 버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