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우리나라 성인 10명 중 8명 정도가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어려운 과제로 인식하고 있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지난달 14일부터 닷새간 전국 거주 만20∼59세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저출산 국민인식조사' 결과를 24일 공표했다. 

내용을 보면 저출산 해결 가능성과 관련 '반드시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라는 대답은 1.2%에 그쳤고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는 16.9%에 불과했다. 반면 '해결하기 어려울 것이다'와 '매우 해결하기 어려울 것이다'는 응답은 각각 59.1%, 22.8%로, 전체 응답자의 81.9%가 저출산 문제의 해결 가능성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한편 조사 대상자의 72.8%는 저출산 문제를 이미 체감하고 있었다. 체감 이유(1·2순위 응답 합산)로는 '결혼 및 출생아 수가 감소하고 있어서'(65.0%), '초·중·고등학교 학생수가 줄어서'(60.2%), 'TV 뉴스, 기사에서 많이 언급되어서'(27.2%) 등이 꼽혔다.

저출산이 생활에 미칠 영향(1·2순위 응답 합산)으로는 '국민연금 고갈로 연금혜택을 못 받을 것 같다'(74.1%), '복지 정책 확대로 세금이 늘어날 것 같다'(71.3%) 등 경제적 불안과 관련된 대답이 다수였다.

저출산 정책 중에서 효과가 가장 높은 정책으로는 '보육료 및 유아학비 지원'(81.8%)이 꼽혔다. '청년·예비부부 주거지원'의 경우 인지도는 21.8%로 낮았으나 효과성은 76.1%로 나타나 홍보 방안이 필요하다는 분석 결과가 뒤따랐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