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우리나라 기업들의 저축이 빠르게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투자를 유도할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곳곳에서 제기되고 있다.

이순호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26일 '최근의 기업저축 증가 동향 및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최근 기업저축이 많이 증가한 것은 전 세계적인 현상이지만 우리나라 기업의 저축 증가 폭이 상대적으로 매우 높다"고 밝혔다.

해당 보고서는 '이익잉여금'을 통해 기업저축 추이를 분석했다.

우리나라 상장기업 전체의 이익잉여금이 2006년 221조원에서 지난해 655조원으로 늘어, 10년 사이 그 규모가 3배나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상장기업 1개의 평균 이익잉여금도 2006년 3천500억원에서 지난해 9천300억원으로 껑충 올랐다.

뿐만 아니라 이 보고서는 수익성 개선으로 기업의 유보이익이 늘면서 기업저축도 늘었다고 공개했다.

상장기업의 대차대조표를 살펴본 결과 매출채권, 현금, 재고자산 등 유동자산이 2006년 216조원에서 지난해 489조원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같은 기간 30조원에서 59조원으로 2배 가깝게 늘었다.

한편 미국 시카고대의 피터 첸 교수 등이 올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기업저축률은 2013년 기준으로 지난 10년 동안 10% 포인트 가까이 오른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에서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보고서는 기업이 최근 배당금을 늘리는 추세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투자 확대를 유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또 "최근 기업소득 환류세제 도입 이후 배당이 많이 증가한 것은 기업이 투자하지 않는 상황에서 바람직하다"며 "다만 기업에 투자 유인을 마련해줌으로써 이익을 투자하게 하는 것이 국가 경제에 더욱 바람직하다"고 의견을 내놓았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