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간병 통합서비스 확대·방문 건강관리 서비스 강화·취약지 거점 종합병원 구축 등 제시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보건복지부가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확대·방문 건강관리 서비스 강화·취약지 거점 종합병원 구축 등을 통해 5년간 10만개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하겠다고 밝혔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31일 문재인 대통령 주재 '보건복지부·고용노동부·여성가족부 핵심정책토의'에서 이같이 보고했다.

우선 보호자 대신 전문 간호사가 간호·간병하는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병상'을 기존 2만3000여개에서 오는 2022년까지 10만개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또한 독거노인 위주로 시행하던 방문 건강관리 서비스를 모든 노인에게 제공할 방침이다. 해당 방안이 실현되면 370만 노인 가구를 관리할 인력이 필요하게 된다.

의료 취약지에는 거점 종합병원을 설립하고, 호스피스 관련 일자리도 늘린다. 그동안 말기 암 환자에 국한됐던 호스피스 서비스를 에이즈(후천성면역결핍증)·만성간경화·만성폐쇄성호흡기질환 말기 환자도 받을 수 있게 된다.

   
▲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사진=미디어펜


민간 부문에서는 큰 제약·의료기기·화장품 산업 발전 종합계획을 세우고 관련 산업을 육성, 전문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전략이다.

내년 상반기에는 치매 진단·치료 및 방역연계 감염병 연구개발(R&D)에 착수하고, 오는 2020년에는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를 건립하는 등 공공 백신 인프라를 구축할 예정이다.

복지부는 이를 바탕으로 향후 5년간 보건분야에서 일자리 10만개가 증가하고, 정책 개입을 통해 추가로 10만개가 늘어나면 2022년에는 총 20만개의 일자리가 생길 것으로 전망했다.

박 장관은 "보건·의료 분야에서 좋은 일자리를 만들기로 의견을 모은 노사정 공동선언을 바탕으로 인력수급 종합대책과 근무여건 개선에 대한 사회적 논의도 본격화하겠다"며 "이를 통해 좋은 일자리 창출 기반을 다질 것"이라고 말했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