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심각한 퇴적 현상을 겪는 한강하구의 강 밑바닥을 조사하는 '하상변도조사'가 진행된다. 2007년 이후 10년 만이다.

6일 국회 안전행정위소속 바른정당 홍철호 의원이 국토교통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의하면 정부는 이달 중 한강하구의 하상변동조사에 착수한다.

하상변동조사는 하천 바닥의 패임이나 퇴적 현상이 하천 안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을 말한다. 

조사가 이뤄지는 구간은 김포 한강 하구 하성면 전류리 포구부터 행주대교까지 약 17㎞다. 조사에 투입되는 국비만 해도 2억4000만원에 달한다. 

이번 하상변동조사는 지난 6월 퇴역함정인 서울함이 경인 아라뱃길을 통해 한강으로 이동 중 모래턱에 걸리는 사고가 난 데 따른 것으로 보여진다. 

당시 일각에서는 사고 원인이 한강의 하상변동조사와 이에 따른 준설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데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