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규태 기자]이낙연 국무총리는 7일 북한 제6차 핵실험 도발 및 사드 배치와 관련하여 "한국은 대북제재를 최강의 수준으로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한국 정부는 군사적 억제수단 확보에도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낙연 총리는 이날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제6회 서울안보대화(SDD) 축사에서 "북한의 핵무장을 멈추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제재(Sanction), 군사적 억제(Deterrence), 대화(Dialogue)가 상정되곤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총리는 "지금은 이러한 수단 중 제재를 최대한 강화하면서 군사적 억제수단을 충분히 확보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북한과 대화는 궁극적으로 필요하지만 지금은 북한과의 대화를 거론할 때가 아니라고 본다"고 언급했다.

이 총리는 북한의 핵실험 감행에 대해 "현재 매우 엄중한 상황"이라며 "북한의 완전한 핵무장까지 시간이 많이 남아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 총리는 "북한의 폭주를 멈추게 할 특단의 대책이 화급하다"며 "북한 정권수립일인 오는 9월9일에는 ICBM을 정상 각도로 발사하는 추가 도발이 이어질 것이라는 예측도 있다"고 덧붙였다.

   
▲ 이낙연 국무총리는 7일 북한 제6차 핵실험 도발 및 사드 배치와 관련하여 "한국은 대북제재를 최강의 수준으로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사진=연합뉴스

이에 대한 대응으로 이 총리는 "한국 정부는 굳건한 한미동맹에 바탕한 한미 연합방위 능력과 한국 독자 대응전력을 극대화하고 국제사회와 강력히 공조하며 북한의 망상을 깨뜨리려는 결의를 다지고 있다"며 "한국 정부는 유엔 안보리가 긴급회의를 열어 최강의 대북제재를 결의하도록 제안했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이 총리는 "문재인 대통령이 '대북 원유공급 중단 및 해외노동자 송출금지와 같은 북한의 외화수입원 차단 등과 같은 강력한 대북제재를 주변국에 요청했다"며 "북한의 핵무장은 한국뿐 아니라 동북아, 나아가 세계의 안보를 위협한다"고 언급했다.
[미디어펜=김규태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