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규태 기자]서울시는 용산미군기지 등 서울에 자리한 미반환 미군기지 중 그간 오염 여부가 확인되지 않았던 6개 기지 주변에서 토양 및 지하수 오염도를 조사한 결과, 2곳에서 초과기준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나 10월 중 추가 정밀조사를 벌인다고 밝혔다.

권기욱 서울시 물순환안전국장은 이날 "조사결과 미군기지 주변의 토지와 지하수 오염도가 허용치 이내로 확인된 점은 다행스럽지만 기준치에 근접하게 나타난 일부 기지의 경우 내부 오염이 우려된다"며 "중앙부처와 미군측은 기지 내부 정밀 환경조사를 조속히 이행해주기 바란다"고 지적했다.

앞서 서울시는 녹사평역 지하터널에서 오염이 발견된 지난 2001년부터 지금까지 67억 원 이상을 투입해 메인포스트, 수송부, 정보대, 니블로베럭, 8군 휴양소, 캠프모스 등 용산미군기지 주변 지역 6곳에 대한 정화 및 수질 모니터링 작업을 해왔다.

이번 조사는 서울시 주관으로 송옥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함께 진행했고 (재)한국환경수도연구원이 시료를 채취해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이 토양과 지하수 시료를 시험분석했다.

   
▲ 서울시는 용산미군기지 주변 오염도가 기준치에 근접한 것과 관련해 주한미군지위협정(SOFA) 관련규정에 따라 환경부와 국방부에 기지내부 환경조사를 요청할 계획이다./사진=서울시 제공

조사 결과, 메인포스트와 수송부 2개 기지 주변 지역의 일부 오염물질이 초과기준에 근접하게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결과에 대해 송옥주 의원은 "기준 이내이나 오염물질이 검출된 메인포스트와 수송부의 경우 부대 내부를 조사할 필요가 있다"며 "앞으로 미군의 성실한 정화노력과 이를 통한 국민신뢰 회복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서울시는 이와 관련해 주한미군지위협정(SOFA) 관련규정에 따라 이전 중인 용산미군기지에 대해 환경부와 국방부에 기지내부 환경조사를 실시하도록 요청할 계획이다.

향후 서울시는 주변의 오염원과 오염도를 보다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기존 조사지점(메인포스트 서쪽 주변과 전쟁기념관 동문 주변, 수송부 정문 주변 지역)을 포함해 조사지점을 확대해 추가 조사한다는 방침이다.
[미디어펜=김규태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