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동건 기자] '뉴스룸'에서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북한의 추가 도발에 대응을 예고하면서도 대북 문제를 대화로 풀어야 한다는 원칙론을 강조했다.
28일 오후 방송된 JTBC '뉴스룸'에는 북핵 관련 외교 최전선에 있는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출연, 손석희 앵커와 이야기를 나눴다.
이날 손석희 앵커는 "미국이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할 가능성과 그것을 기반으로 한 대화는 공식적으로는 없다고 보는 게 맞냐"고 질문했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북핵 불용이 미국·한국의 확고한 입장이다. 그것은 미국과 한국뿐만 아니라 안보리 결의에 명시된 국제사회의 목적이다"라고 답했다.
|
 |
|
▲ 사진=JTBC '뉴스룸' 방송 캡처 |
이에 손석희 앵커가 "따라서 그것을 전제로 한 대화는 어떤 형태로든 없을 것이라는 거냐"고 묻자 강 장관은 "저희가 국제사회에 같이 추구하는 것이 북한의 핵 폐기를 통한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적인 해결이다. 그게 원칙이다"라고 밝혔다.
추가적인 북한의 도발 가능성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도발의 가능성이 굉장히 높다. 그래서 여러 가지 도발에 대해 한미 간의 긴밀한 공조로 대비하고 있다"면서 "도발의 형태가 어떻든 어떤 형식으로 반응을 할 것"이라고 전했다. 대응과 관련한 부분은 군사 기밀로, 구체적인 설명은 곤란하다고 덧붙였다.
손석희 앵커는 "한미 동맹의 틀을 깨는 한이 있더라도 한반도 내에서는 전쟁은 없다는 얘기가 나왔는데 어떻게 판단하냐"고 물었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북한의 지속적인 도발에 대해서 압력과 제재를 더 강화해야 한다는 건 미국뿐이 아니다. 안보리 결의에 명시돼 있듯 국제사회의 반응이다"라면서도 "도발에 대한 대응이지 그것이 대화를 안 하겠다는 것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강한 압력과 제재를 통해 북한이 태도를 바꾸도록 하고, 그럼으로써 비핵화 대화가 나오도록 하자는 것이 기본 취지라는 것. 그는 "북한이 도발하면 압력 제재가 계속 높아질 수밖에 없다. 지금까지 그래왔던 거다"라면서 "압박을 느껴서 결국은 테이블에 나오게 하는 것이 저희 공동의 목표"라고 밝혔다.
대북 압박의 효력이 나타날 시기에 대해서는 "어떤 분석에 따르면 이번 결의로 북한에 유입되는 자금의 90%가 차단될 거고, 그렇게 되면 상당한 압박이 될 것이다. 핵심은 중국과 러시아다. 북경과 국경을 맞대고 있고, 중국의 경우는 북한 교역의 90%를 중국을 통해서 하고 있다"면서 "과거와는 달리 제재 이행에 있어서나 그 제재의 효과에 있어서나 좀 더 빠른 속도로 진행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미디어펜=이동건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