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사, 저신용등급자에게 대출 하지 않을 것…"결국 피해는 고객"
[미디어펜=김하늘 기자] 정부에서 가계부채를 줄이기 위한 방책으로 대출총량규제 카드를 꺼내들었다. 이에 은행권과 건설업권에서 파장이 일고 있는 가운데, 제2금융권에선 허리띠 졸라매기에 나선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2금융권의 허리띠 졸라매기 등의 연쇄효과로 고객들이 피해를 입는 또 다른 풍선효과가 나타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제기됐다. 

   
▲ 향후 5년간 가계부채 추세 및 정책효과 전망/표=금융감독원


지난 24일 정부는 신(新)총부채상환비율(DTI)과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의 내년 시행 등을 담은 가계부채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정부는 이번 대책을 통해 가계부채 증가율을 8% 이내로 낮춘다는 방침이다. 이에 대한 방책 중 하나로 금융사의 대출총량규제를 실시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카드업계는 대출총량규제 뿐만이 아닌 내년 가맹점 수수료 인하와 중금리 시장을 타겟으로 업체들의 신규 진입 등의 거대한 난항이 눈앞에 놓여있는 상황이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내년 카드업계는 전반적으로 악화된 경영환경에 놓여있다”며 “카드론 증가율도 많이 둔화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카드사들은 이미 대출 상품 외에 다양한 사업을 통해 활로를 찾고 있다”며 “특히 자동차 금융에 많은 카드사들이 눈을 돌리고 있고, 해외사업이라든지 문화, 전시사업에 대한 투자 등 다양한 방식으로 활로를 찾고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다른 제2금융권인 저축은행의 경우 신규 먹거리를 아직 찾지 못해 난감한 상황인 것으로 파악됐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자격요건 기준 강화와 대출총량 규제 등으로 인해 이용고객이 줄어드는 것은 자명하다”며 “가계부채 관리라는 큰 방향은 이해하지만 업계를 조이며, 숨통은 트여줘야 하는데 현재는 그렇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대출 영업 외에 부대 수입을 늘릴 수 있게 정부에서 규제를 완화해주길 바란다”며 “햇살론 등의 정책 금융 상품이라든가, 정부에서 권장하는 중금리 대출의 경우엔 대출총량규제에서 벗어난 예외 규정으로 다뤘으면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러한 가계부채 종합대책의 종합적 흐름을 봤을 때 결국 피해를 입는 건 금융사가 아니라 고객일 것이라는 주장도 제기됐다. 

한 금융업계 관계자는 “결국 손해를 보는 것은 고객들”이라고 말했다.

그는 “대출총량규제가 심화되면 금융사에선 저신용등급자에겐 대출을 하지 않을 것”이라며 “대출총량을 줄일수록 대출을 받을 수 있는 등급이 더욱 높아지는 것은 당연하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은행과 카드, 저축은행에서 대출을 받지 못한 저신용자가 찾을 곳은 대부업체일 가능성이 크다"며 “이번 가계부채 대책으로 인해 금융사의 이익이 줄어드는 것은 맞지만 더 큰 피해는 고객에게 돌아갈 것으로 보인다”고 예상했다.
[미디어펜=김하늘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