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진화작업을 벌이다 소방관 2명이 순직한 강릉 석란정 화재 원인에 대해 국립과학수사원이 “판별이 불가하다”는 감정결과를 내놓으면서 사건이 미궁에 빠질 가능성이 커졌다.
26일 강원 강릉경찰서에 따르면 방화와 자연발화 등 여러 가능성을 열어 두고 수사를 벌였으나 아직까지 명확한 발화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감정결과는 “구체적인 발화 원인에 대한 판단은 불가하다”고 나왔다. 석란정 건물 내부에서 최초 발화한 것으로 추정되나 발화지점을 특정할 만한 연소현상이나 전기적 특이점이 없어 구체적인 발화 원인에 대한 판단이 불가하다는 것이다.
석란정 내부에서 발견된 인화물질인 시너의 주성분인 톨루엔, 자일렌, 3-에톡시에틸에스터르로피온산은 공기와 폭발성 혼합기체를 형성하고, 스파크나 불꽃, 정전기 등의 점화원에 의해 폭발할 수 있다.
그러나 누군가 인화물질을 뿌린 것인지 자연 발화한 것인지에 대한 판단이 불가능하다는 설명이다.
경찰은 사건 당일 석란정 관리인 등을 상대로 조사를 벌였으나 모두 알리바이가 확인됐다.
또한 전기 배선에서 단락 흔적 등 특이점도 없어 전기적 요인에 의한 발화 여부도 판별이 불가능해 정확한 화인을 밝히지 못한 채 사건이 종결될 가능성이 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