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규태 기자]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27일(현지시간) 우리 정부 유엔 대표부가 유엔 총회 1위원회의 핵무기 결의안 3건 중 2건에 기권표를 던진 것과 관련해 "정부 지침에 따른 것"이라며 "미국 등과 긴밀하게 협의했다"고 30일 밝혔다.
강경화 장관은 이날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종합감사에서 홍문종 자유한국당 의원이 "미국과 공조가 중요한 상황에서 이렇게 결정해도 괜찮은 거냐"고 묻자 "미국 및 주요국들과 긴밀하게 협의하면서 (기권) 결정을 했다"며 이같이 답했다.
이어 강 장관은 "해당 결의는 이번 유엔 총회에서 채택되는 54개 결의안 중 하나"라며 "지난 1994년부터 채택됐고 우리 정부는 찬성을 하다가 2015년부터 기권으로 돌아섰다"고 답했다.
또한 강 장관은 "비공식 회의를 통해 미국과 일본 등 대다수국가들이 유엔 핵무기 결의안에 대한 한국의 입장을 충분히 이해한다는 인식을 가지고 협상했다"고 덧붙였다.
앞서 국제안전·군축을 담당하는 유엔총회 1위원회가 27일(현지시간) 주관한 결의안 투표에서 정부가 기권표를 던진 유엔총회 결의 L19호와 L35호는 각각 전세계의 핵무기 사용·보유를 전면 금지하는 협약, 핵무기의 전면적철폐를 향한 공동행동 협약이다.
유엔총회 1위원회가 매년 채택해온 두 결의안 중 논란으로 떠오른 L35호 결의의 찬성국가는 작년에 비해 23개국 줄은 144개국이었고 기권국은 10개국 늘었다.
한국을 비롯해 뉴질랜드·오스트리아·아일랜드·브라질·이스라엘 등 27개국이 L35호에 기권표를 던졌다.
|
 |
|
▲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유엔 핵무기 결의안 기권표
결정과 관련해 "정부 지침에 따른 것"이라며 "미국 등과 긴밀하게 협의했다"고 30일 밝혔다./사진=연합뉴스 |
[미디어펜=김규태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