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이동통신3사의 올해 1분기 실적이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연초부터 치열했던 불법 보조금 경쟁이 실적 악화라는 결과를 가져온 것으로 풀이된다.
2일 이동통신업계에 따르면 LG유플러스가 지난달 28일 공시한 1분기 매출은 2조7804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2.8% 감소했다. 그러나 영업이익은 8.1% 줄어든 1132억원을, 순이익은 63.9% 급감한 268억원을 기록했다.
LG유플러스는 “실적 악화의 주원인은 마케팅 비용 증가”라고 밝혔다.
SK텔레콤이 지난달 29일 발표한 1분기 매출은 4조2019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3.4% 증가했다. 그러나 영업이익은 2524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37.6% 급감했다.
또 순이익은 22.7% 감소한 2673억원에 그쳤다. SK텔레콤은 일시적인 마케팅 비용 증가를 실적 부진 요인으로 꼽았다.
KT 역시 지난달 30일 올해 1분기 매출은 5조8461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4.2% 줄었다고 공시했다. 당기순이익은 409억원의 순손실과 더불어 1분기 영업이익도 전년동기 대비 58.6% 줄어든 1520억원을 기록했다. KT도 실적 부진의 원인을 마케팅비용 증가 탓으로 돌렸다.
이통3사의 실적 악화의 주원인은 바로 마케팅 비용 증가다. 다른 통신사 고객을 빼앗아 오기 위해 벌인 보조금 출혈 경쟁이 상처만 남긴 것이다.
LG유플러스의 경우 1분기 무선 마케팅 비용으로 전년동기 대비 22.6% 증가한 5511억원, SK텔레콤은 21.4% 늘어난 1조1000억원, KT는 11.1% 늘어난 7752억원을 집행했다.
회사별 악재도 이통3사 실적 악화에 영향을 끼쳤다. SK텔레콤은 지난 3월 통신서비스 장애로 발생한 보상비용(300억~1200억원)을 1분기 실적에 반영했다.
KT 역시 유선부문에서의 실적 감소 추세가 계속돼 1분기 매출은 전년동기 대비 6.7% 줄어든 1조4201억원에 그쳤다. 2010년 이후 연간 4000억원씩 줄어드는 상황이다.
이밖에도 이통3사 모두 불법 보조금 지급으로 장기간 영업정지 처분을 받으면서 무선단말 판매량 등이 감소했다. [미디어펜=권일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