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규태 기자]미 국무부는 31일(현지시간) "동북아 안정성이 강화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에 따른 중국 보복 등 양국 갈등에 대한 봉합 및 한중관계 정상화를 환영했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헤더 노어트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이에 대해 "북한 위협으로 인해 절실해진 해당 지역의 안정성이 강화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한미동맹 결정으로 이뤄진 사드는 방어시스템이지 공격시스템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노어트 대변인은 "북한 핵 미사일 프로그램에 대한 방어 차원에서 한국에 사드를 배치하겠다는 한미 양국의 결정에는 그동안 아무런 변화가 없었다"며 "자국민을 안전하게 지키는 것과 마찬가지로 동맹국을 안전하게 방어하는 것도 미국의 우선순위"라고 덧붙였다.

특히 노어트 대변인은 이번 한중관계 정상화에 대해 "우리의 친구인 한국과 중국이 더 긴밀한 관계를 구축해 기쁘다"며 "북한이 동북아와 전세계에 미치는 불안전성을 고려하면 좋은 일"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노어트 대변인은 "중국은 정신을 차리고 북한이 가하는 위협에 대해 인지하고 있다"며 "중국은 북한이 자신들과 다른 많은 나라들 입장에서도 '가시'라고 간주하기 시작했다"고 언급했다.

앞서 한중 양국은 지난달 31일 사드문제 소통과 함께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 발전을 추진하고 모든 분야의 교류협력을 회복시켜 나가기로 합의했다.

   
▲ 한국과 중국은 10월31일 각 분야의 조속한 교류 정상화 등 양국 관계를 회복하겠다고 공식적으로 밝혔다. 사진은 7월6일(현지시간)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한중 정상회담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웃고 있는 모습./사진=연합뉴스

[미디어펜=김규태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