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규태 기자]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방한을 하루 앞두고, 정부는 6일 오전0시부로 북한의 대량살상무기(WMD)·탄도미사일 개발을 목적으로 한 금융거래활동 차단을 위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제재대상 금융기관 관계자 18명을 한국의 독자제재 대상으로 추가 지정했다.
이번 제재대상 추가 지정은 문재인 정부 들어 첫 독자제재다.
외교부는 이날 "우리 정부는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의 충실한 이행을 위해 관련국들과 긴밀한 협의를 진행해 왔다"며 이같이 밝혔다.
정부가 추가 지정한 관계자 18명은 해외에서 북한은행의 대표로 활동하면서 북한의 대량살상무기(WMD) 개발을 위한 자금 조달에 관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
 |
|
▲ 정부는 6일 북한의 대량살상무기(WMD)·탄도미사일 개발을 목적으로 한 금융거래활동 차단을 위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제재대상 금융기관 관계자 18명을 한국의 독자제재 대상으로 추가 지정했다./사진=연합뉴스 |
이번 대북 독자제재로 추가지정된 18인은 중국에 소재한 박문일(대성은행 직원)·강민(대성은행 대표)·김상호(대성은행 대표)·김정만(통일발전은행 대표)·김혁철(통일발전은행 대표)·문경환(동방은행 대표)·배원욱(대성은행 대표)·방수남(일심국제은행 대표)·박봉남(일심국제은행 대표)·김동철·고철만·리춘환··리춘성·최석민(조선무역은행 대표 5인)와 러시아에 있는 리은성(통일발전은행 대표)·주혁(조선무역은행 대표), 그리고 리비아에 소재한 김경일(조선무역은행 부대표)·구자형(조선무역은행 대표)이다.
외교부는 이날 이번 조치를 통해 "북한 불법자금원을 차단하고 해당 개인과의 거래 위험성을 국내 및 국제사회에 환기하는 효과를 거둘 것"이라며 "나아가 국제사회의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 이행 노력을 강화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또한 외교부는 이와 더불어 "계속된 대북 제재압박을 통해 북한을 대화의 길로 이끌어 냄으로써 북핵문제를 평화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미디어펜=김규태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