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정부는 23일 긴급 재난문자를 차단한 휴대전화에도 강제로 문자를 전송하는 방안을 추진하기고 했다. 

이날 정부청사에서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제18회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를 열어 이런 내용을 논의했다.

정부는 전쟁발발 시에만 재난문자 강제전송이 가능하지만 최근 포항지진 등 긴급 재난 발새 시 수신기능을 차단한 휴대전화에도 재난문자를 강제 전송하기로 했다.

또, 재난문자 수신이 불가능한 2세대(G) 휴대전화 59만대도 각 지자체에 전화번호를 등록해 재난문자를 보내기로 했다.

재난문자를 받지 못하는 3G 휴대전화 540만대, 4G 204만대 사용자에게는 '안전디딤돌 앱'을 설치를 유도해 재난문자를 받을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정부는 지진에 취약한 필로티 건물 등에 대해 호(戶)당 4000만원까지 융자를 하는 등 내진보강비도 지원하기로 했다.

이낙연 총리는 "피해복구와 지원과정에서 발생하는 불편과 불만에 대해 정부가 수용할 것은 즉시 수용하고, 오해가 있다면 행정안전부를 중심으로 피해 주민들께 소상히 설명해 불안감을 덜어드리라"고 지시했다.

아울러 정부는 27일까지 정부부처가 합동으로 실시하는 '중앙재난피해합동조사'를 마무리하고, 12월 초까지 복구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