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민주노총 전국건설노동조합(이하 건설노조)이 28일 국회 앞에서 대규모 집회를 열고 "청와대로 가겠다"며 마포대교 방향으로 행진하다 경찰과 충돌을 빚었다.

행진이 가로막히자 건설노조는 오후 5시께부터 연좌농성을 벌였으며 이 때문에 한때 마포대교 양방향 차선이 전면 통제돼 이 일대에서 퇴근길 극심한 교통대란이 빚어졌다.

건설노조는 이날 오후 국회 앞에서 건설근로자 고용개선 등에 관한 법률(건설근로자법) 개정 등을 요구하는 집회를 열었다. 집회에는 조합원 2만명(경찰 추산 1만2000명)이 참여했다.

이날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고용노동소위에서 심사가 예정됐던 건설근로자법 개정안이 여야 간 이견으로 논의가 이뤄지지 않은 사실이 알려지자 건설노조는 국회 방향으로 진출을 시도했다.

건설노조는 이 과정에서 폴리스라인을 넘어 몸싸움을 벌였다. 이들은 국회 진출이 경찰에 막히자 "청와대로 가 항의하겠다"며 마포대교 쪽으로 방향을 틀었다.

건설노조는 경찰이 마포대교 남단에서 가로막자 오후 5시쯤 연좌농성을 시작했고, 경찰도 마포대교 남단을 통제해 양방향 교통이 모두 막혔다.

건설노조는 1시간여 뒤 농성을 해산해 교통 통제는 풀렸다. 

건설근로자법 개정안은 일용·임시직 건설근로자에 퇴직금을 지급하는 '퇴직공제부금 인상' 등을 골자로 하는 법안이다. 퇴직공제제도는 일용·임시직 건설근로자를 위한 일종의 퇴직금제도다. 근로일수만큼 건설사업주가 공제부금을 납부하면 해당 근로자가 퇴직할 때 공제회가 퇴직공제금을 지급한다.

시위대는 당초 경찰에 신고한 KBS앞~여의2교 북단 행진을 하기로 했지만, 예정에 없던 진행방향 변경으로 경찰과 물리적 충돌이 있었다. 이번 시위로 시위대 3명, 의경 3명, 경찰관 1명 등 7명이 병원에 이송됐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