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규태 기자]"북한 김정은 정권에 의한 조직적인 인권 침해가 북한 주민 고통의 원인 뿐만 아니라 김정은이 정권을 유지하는 수단이 되고 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가 11일(현지시간) 뉴욕 유엔본부에서 북한 인권 상황을 정식안건으로 올려 논의한 자리에서 니키 헤일리 유엔주재 미국 대사는 이같이 지적했다.

유엔 안보리는 이날 15개국 중 10개국의 찬성으로 북한의 인권 침해를 규탄했다.

이집트와 에티오피아는 기권했고 중국과 러시아, 볼리비아는 이에 반대했다.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유엔 안보리가 북한 인권 상황을 정식안건으로 채택해 논의한 것은 지난 2014년부터 올해까지 4년 연속이고 이날 회의는 미국·영국·프랑스·일본·이탈리아·스웨덴·우크라이나·우루과이·세네갈의 요구로 소집됐다.

이날 안보리 회의에서 북한의 탈북자 강제북송과 이산가족, 억류 및 정치범 수용소, 해외파견 북한노동자에 대한 인권침해 지적이 쏟아졌다.

이번 달 안보리 의장국으로서 회의를 주재한 벳쇼 고로 일본 대사는 "북한 김정은 정권으로 인해 북한의 인도주의적 인권은 절박한 상황"이라고 언급했고, 당사국 대사 자격으로 이날 참석한 조태열 주유엔 한국대사는 인권침해의 근본원인으로 "북한 정권이 기본권을 도외시하고 민생은 돌보지 않은 채 핵무기 개발 등을 통한 체제 안전에만 몰두하는 데 있다"고 지적했다.

   
▲ 유엔 안보리는 11일(현지시간) 뉴욕 유엔본부에서 북한 인권 상황을 정식안건으로 올려 논의했다./사진=연합뉴스


조 대사는 이어 "유감스럽게도 지난 1년간 북한 인권 상황에 아무런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며 "북한 핵 문제와 인권문제는 동전의 양면과도 같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헤일리 미 대사는 "오늘 우리가 어떻게 하는지 역사가 판단할 것"이라며 "북한 정권은 국제평화와 안보에 중대한 위험이 되는 불필요한 무기 개발과 거대한 재래식 군사력을 위해 권력을 악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헤일리 대사는 "핵무기를 향한 북한 정권의 위협적 행보는 북한 주민들에 대한 압제와 착취로부터 비롯된다"며 "자국민을 돌보지 않는 국가(북한)는 결국 분쟁으로 이어지고 인권에 대한 논의가 평화안보를 이끌어 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자이드 라드 알 후세인 유엔인권최고대표는 이날 안보리 회의에 앞서 영상 메시지를 통해 북한 인권 상황에 대해 "북한 리더십이 인권을 탄압하고 있다"며 "인도주의적 측면에서 안보리의 대북제재 영향을 평가해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미디어펜=김규태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