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규태 기자]정부는 15일(현지시간) '북한 및 비확산'을 주제로 열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장관급회의에서 북한의 핵보유국 주장에 대해 "절대 인정할 수 없다"면서 "국제사회 대북제재에 대한 북한의 회피 행태가 더 정교해졌다"고 지적했다.

우리측 수석대표로 이날 참석한 조현 외교부 제2차관은 "북한은 절대로 핵보유국으로 인정될 수 없고, 비핵화를 위한 대화만이 실행 가능한 선택이라는 점을 인식하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외교부에 따르면, 조 차관은 이날 발언에서 "국제사회를 상대로 북한은 '의지의 전쟁'을 맹렬하게 벌이고 있다"며 "북한은 자신들의 용어와 조건에 입각한 핵보유국으로 인정받기를 원하지만 우리의 답은 '절대 안 된다'이다"라고 언급했다.

이어 조 차관은 "북한은 안보리 결의의 구멍을 찾아 이용해왔다"며 "제재 목적은 북한을 무너뜨리기 위해서가 아니라 북한을 비핵화 협상 테이블로 유도하기 위한 것"이라며 "우리가 비핵화를 꺼리는 북한을 협상테이블에 앉히려면 안보리 제재 결의를 이행하는 측면에서 더 많은 노력을 다해 모든 구멍을 메워야 한다"고 덧붙였다.

특히 조 차관은 "제재를 회피하는 북한의 회피 전술이 더욱 정교해졌으며 북한 정권은 모든 '약한 고리'들을 이용하고 있다"면서 "유엔 안보리 관련국가 누구도 '약한 고리'가 되어서는 안 되고 어떤 나라라도 북한의 저항을 돕는 단체와 개인을 용납해선 안 된다. 우리가 북한의 제재 회피에 대한 관행을 공유하는 것이 제재 결의 구멍을 막는 데 도움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조 차관은 향후 대북 제재에 대해 "안보리 회원국과 국제사회는 빈틈없고 완전한 제재 이행을 위해 노력을 배가해야 한다"며 "북한이 진정한 비핵화 의지를 가지고 협상 테이블로 돌아올 때까지 필요한 만큼 최대의 압박을 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문재인 대통령의 중국 국빈 방문을 수행한 강경화 외교부 장관을 대리해 이날 안보리 회의에 참석한 조 차관은 "한국은 북한 비핵화와 항구적인 한반도 평화 구축을 이루겠다"며 "이를 위해 모든 나라들과 긴밀히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 정부는 15일(현지시간) '북한 및 비확산'을 주제로 열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장관급회의에서 북한의 핵보유국 주장에 대해 "절대 인정할 수 없다"고 밝혔다./사진=연합뉴스

[미디어펜=김규태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