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규태 기자]국가정보원 산하 국가안보전략연구원은 18일 기자간담회에서 북한 권력엘리트에 대한 김정은 정권의 추가 숙청 및 처벌 가능성에 대해 내년에도 지속될 것으로 봤다.
연구원은 특히 "북한 김정은 시대의 특징 중 하나가 군에 대한 당적 통제 강화"라면서 북한 인민국 총정치국의 황병서 총정치국장과 김원홍 제1부국장의 처벌 내역을 밝히면서 군부와 고위엘리트에 대한 숙청 처벌이 계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구원은 이날 황 국장과 김 부국장의 처벌에 대해 "이걸로 종결이 아니다"라며 "황병서의 경우 기존 계급보다 한참 아래의 군사직책을 받아 모 부처에서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고 이는 심각한 정도의 강등조치"라고 설명했다.
김 부국장에 대한 처벌에 대해 연구원은 "수용소가 아니라 농장의 농장원으로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며 "김원홍은 보위부장 당시 부정부패 문제가 있었고 나중에 추가적으로 발견되어 재기가 어려워 보인다"고 언급했다.
연구원은 이날 북한의 경제엘리트에 대해서도 향후 숙청이 강화될 것으로 판단했다.
연구원은 이에 대해 "국제사회 대북제재의 영향으로 북한의 경제상황이 어려워지면 지난 1990년대에 그랬던 것처럼 누군가에게 책임을 전가하기위해 고위급 경제부문 엘리트들에 대한 숙청 가능성이 있다"며 "북한 박봉주 내각총리와 안정수 경제담당 부위원장 등이 목표가 될 수 있다"고 관측했다.
앞서 북한은 1990년대 중후반 식량난과 관련해 서관히 노동당 농업담당 비서를 처형했고, 지난 2009년 화폐개혁 실패의 문책으로 박남기 노동당 재정계획부장을 공개 처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
|
▲ 국가정보원 산하 국가안보전략연구원은 18일 기자간담회에서 북한 권력엘리트에 대한 김정은 정권의 추가 숙청 및 처벌 가능성에 대해 내년에도 지속될 것으로 봤다./사진=연합뉴스 |
[미디어펜=김규태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