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규태 기자]국가정보원 산하 국가안보전략연구원은 18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내년 3월 이후 북한 경제에 심각한 타격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국가안보전략연구원은 이날 "유엔 제재위원회에서는 제재가 발효되고 그 효과가 나타나는 시점을 대략 6~12개월로 잡고 있다"며 이같이 설명했다.
연구원은 "유엔 안보리 제재 결의안 2371호가 내년 3월이면 유엔 제재위 판단에 근거한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며 "다만 그렇다 하더라도 이러한 경제 타격이 북한의 비핵화 태도로 이어질 것이라고 판단하긴 어렵다"며 말을 아꼈다.
특히 연구원은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압박 효과의 가시화 여부에 대해 "상대방도 제재조치에 대응할 수 있는 대응수단이 있고 시간이 있기 때문에 효과가 서서히 나타나는 특징을 보인다는 점에서 경제는 정치군사적 현상과 다르다"며 "경제적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환율과 물가상승분을 보면 판단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연구원은 "무역이 축소되면서 그만큼 외화유입에 차질이 빚어지고 이에 따라 외화 감소로 내부환율이 상승해 물가상승을 주도할 것"이라며 "시장에 물자공급 줄어들어 시장물가가 상승하는 것과 환율 및 시장물가 상승분을 보면 판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
 |
|
▲ 국가정보원 산하 국가안보전략연구원은 18일 기자간담회에서 내년 3월 이후 북한 경제에 심각한 타격이 예상된다고 밝혔다./사진=연합뉴스 |
이어 연구원은 북한의 에너지 감소와 관련해 "차량이동 정도의 저하는 물론이거니와 북한에 압박을 주기 위해 전략자산들을 상시적으로 순환배치하는 미국에 대응수단으로 북한도 전투기를 띄워야 한다"며 "이러한 상황이 장기간 지속될 경우 북한은 상당한 군사 피로도와 에너지 소비를 보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연구원은 이날 북한의 경제 타격으로 인해 고위급 경제부문 엘리트들에 대한 숙청이 일어날 수 있다고도 관측했다.
연구원은 "국제사회 대북제재의 영향으로 북한의 경제상황이 어려워지면 지난 1990년대에 그랬던 것처럼 누군가에게 책임을 전가하기위해 고위급 경제부문 엘리트들에 대한 숙청 가능성이 있다"며 "북한 박봉주 내각총리와 안정수 경제담당 부위원장 등이 목표가 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앞서 북한은 1990년대 중후반 식량난과 관련해 서관히 노동당 농업담당 비서를 처형했고, 지난 2009년 화폐개혁 실패의 문책으로 박남기 노동당 재정계획부장을 공개 처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디어펜=김규태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