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정광성 기자]6.13지방선거에 앞서 치러질 20대 국회 후반기 원 구성을 3개월 남겨두고 국회의장 자리를 놓고 여야 경쟁이 가열되고 있다.  

오는 5월 공식적으로 전반기 정세균 의장의 임기 종료와 함께 국회부의장과 상임위원장들도 모두 교체된다. 특히 국회의장은 입법부 수장이자 국가 의전서열 2위인만큼 상징성이 크다.

국회의장은 본회의에서 무기명 투표를 통해 선출된다. 관례적으로는 원내 1당이 내부 경선을 통해 단수 후보를 추천하고 본회의에서는 추인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임시국회 소집·주요 법안의 직권상정 등의 권한을 갖고 있는 국회의장은 원내 의석수가 가장 많은 ‘제1당’에서 중진급 다선의원이 맡는 것이 관례다. 이에 따라 121석의 집권여당인 더불어민주당에서 차기 의장이 선출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하지만 의석수가 많은 자유한국당도 116석을 갖고 있어 양당 의석수 차이가 5석에 불과하다. 민주당에서 6월 지방선거 출마를 이유로 중도사퇴하는 의원이 생기면 원내 1·2당의 지위가 바뀔 수도 있어 원 구성 협상의 변수로 꼽힌다.

국회의장 후보로는 민주당에선 6선의 문희상·이석현 의원과 5선의 박병석 의원이 거론되고 있다. 당내 최다선인 이해찬 의원(7선)도 물망에 오르지만 친노(친노무현)계 좌장 격이라는 상징성 때문에 의장보다는 8월 당 대표 선출 전당대회에 출마해 당권을 노릴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또한, 본회의에서 투표를 통해 선출하는 만큼 제 2, 3당 등이 뭉쳐서 후보를 낼 경우 상황이 달라질 수도 있다.

이런 점에서 야당인 한국당이 국회의장을 맡게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국당에서는 5선 이상 중진의원들이 잠재적 후보군으로 거론되나 뚜렷하게 움직이는 주자는 없는 상태다. 5선 이상으로는 서청원(8선), 김무성(6선), 심재철·원유철·이주영·정갑윤(5선) 의원 등이 있다.

당내에서는 친박(친 박근혜) 핵심 인사나 검찰 수사, 국회의장이 아닌 다른 정치적 진로를 모색하는 중진 등을 빼면 심재철·정갑윤 의원 정도가 여건이 되면 의장직에 도전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국회의장 선출 문제와 관련해서는 선출 시기도 변수다.

국회의장 교체에 따른 공백을 차단하려면 정세균 의장의 임기 종료 전에 후반기 의장을 선출해야 하지만, 지방선거와 재보선 때문에 이 시기가 늦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이다. 여당이 지방선거 후보자의 이탈로 의원 수가 줄어들 경우 지방선거가 끝날 때까지 후반기 원 구성 협상에 응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자유한국당 한 관계자는 19일 “현재 여당 의석수가 많기 때문에 또 다시 의장직을 가져가려고 할 것이다. 하지만 지방선거에서 제1당이 누가 될지 모르는 상황에서 의장선거를 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의장 선거를 지선 이후로 미뤄야 한다”고 말했다. 

   
▲ 국회의사당 본회의 모습/사진=미디어펜



[미디어펜=정광성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