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오준 포스코 회장이 19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회장 취임 후 첫 기업 설명회를 열고 '新경영전략'을 발표했다.

권 회장은 이날 “철강본업 집중과 메가 성장기반 구축, 경영효율화를 위한 사업구조조정, 재무구조 건전화 등 ‘내실 있는 성장’을 목표로 한 중기 경영전략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 권오준 포스코 회장/뉴시스

포스코는 신 경영전략에 따라 오는 2016년까지 '현금창출 능력(EBITDA)' 8조5000억원과 신용등급 A등급 회복을 통해 글로벌 톱 수준의 재무건전성을 확보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현금창출 능력(EBITDA)’란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 벌어들이는 현금창출 능력, 즉 수익성을 보여주는 지표다.

포스코는 또 원천소재와 청정에너지의 2대 영역에서 메가 성장엔진을 육성할 계획이다. 원천소재는 리튬과 니켈, 청정에너지 영역에서는 연료전지와 클린 콜(Clean Coal) 사업을 후보로 선정, 중점 육성하기로 했다.

포스코는 신경영전략이 순조롭게 실행될 경우 2016년 단독기준 32조원 매출액에 3조원의 영업이익, 9%대의 영업이익률, 연결기준으로는 78조원의 매출액에, 영업이익 5조원, 6%대의 영업이익률과 부채비율도 대폭 낮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포스코는 중기 경영목표 달성을 위한 전략 방향으로 '연계와 협력(Connect & Collaborate)'에 기반한 전략적 제휴로 전환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포스코는 철강을 핵심으로 하고 원천소재∙청정에너지 등 2대 영역에서 메가 성장엔진을 육성하기 위해 국내외 기업들과 다양한 협력 방안을 모색 중이다.

또한 ‘기업가치를 높일 수 있다면 어떤 사업이라도 그 대상이 될 수 있다’는 구조조정의 대원칙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국내 1위권에 속하지 않거나, 철강핵심사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필수적 기능을 수행하는 사업이 아닌 비핵심사업을 우선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권오준 회장은 “포스코는 앞으로 내실 있는 성장을 위해 전략 패러다임을 바꾸고, 경쟁력 강화와 수익성 제고에 집중할 것”이라며 “과감한 구조조정과 함께 내부 효율성 증대에 주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디어펜=권일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