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소득 생활 만족도는 40대가 최고, 소비 생활 만족도는 20대가 최고인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은 31일 ‘2017 한국의 사회지표’를 발표해 작년 지난해 19세 이상 국민 중 소득에 만족을 느끼는 비율은 13.3%였고 불만족 비율은 46.0%에 달했다고 밝혔다.
60대 이상은 소득과 소비생활 모두 불만족도가 전체 연령층에서 최고를 기록했다. 성별로는 남성이 여성보다 소득과 소비생활 모두 만족도가 높은 편이었다.
소득 만족도는 2015년보다 소폭 상승했지만 불만족 비율은 2년 전보다 다소 감소했다. 2015년 소득 만족 비율은 11.4%였고 불만족 비율은 46.3%를 기록했다.
연령별 소득 만족 비율을 보면 40∼49세가 16.8%로 가장 높았고 30∼39세 14.7%, 19∼29세 14.2%, 50∼59세 13.2%, 60세 이상 9.2% 등의 순서를 보였다.
성별 소득 만족도는 남성(13.9%)이 여성(12.6%)보다 높았으며, 연령별 소득 불만족도는 60세 이상이 52.7%로 최고였다. 나머지 연령대의 소득 불만족 비율은 40%대를 기록했다.
19세 이상 국민의 소비생활 만족 비율은 15.4%로 2년 전보다 1.5%p 상승했고, 불만족 비율은 37.4%로 0.7%p 떨어졌다.
연령별 소비생활 만족 비율은 19∼29세가 18.4%로 가장 높았고 40∼49세 17.9%, 30∼39세 17.6%, 50∼59세 14.1%, 60세 이상 10.7% 등의 순서가 나타났다. 성별 소비생활 만족도는 남성이 15.6%로 여성(15.2%)보다 높은 편이었다.
연령별 소비 불만족도는 60세 이상이 43.1%로 30%대를 기록한 다른 연령층을 상회했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