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혈액이 아닌 비강에 치료물질을 투입해 뇌염바이러스를 치료할 수 있게 된다.
1일 한국연구재단에 따르면 이상경 한양대 교수 연구팀·쿠마 예일대 의대 교수 연구팀은 비강에서 뇌로 이어지는 경로를 통해 뇌염바이러스를 치료하는 물질을 발견했다.
웨스트나일·일본뇌염·지카를 비롯한 바이러스는 뇌막염이나 뇌염 등 뇌 감염을 일으키며, 유아나 노인 등 면역계가 약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혈액을 통해 약물을 투입해도 혈액-뇌 장벽을 넘지 못해 필요한 곳에 미치지 못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팀은 뇌염을 일으킨 쥐에게 뇌염바이러스 발현 억제 물질을 투입하는 과정에서 비강을 통해 뇌로 전달할 경우 뚜렷한 치료 효과가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또한 바이러스 면역 반응도 형성, 2차 감염 발생시 추가적인 치료제 투여 없이도 자연 치유할 수 있다고 부연했다.
이번 실험에는 연구팀이 자체적으로 개발한 위치교정장치가 사용, 쥐들이 머리를 자연스럽게 아래로 향해 약물이 뇌로 쉽게 전달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 등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논문은 셀 호스트&마이크로브 온라인판에 수록됐으며, 4월호 표지 논문으로 선정됐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