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경찰 국세청 압박에 두손, 정권마다 회장수난 흑역사 되풀이
   
▲ 이의춘 미디어펜대표
기어코 포스코 흑역사가 재현됐다.

권오준 포스코회장이 18일 돌연 사퇴했다. 새정권이 출범할 때마다 포스코 최고경영자는 자의반 타의반으로 물러나는게 관행이 됐다. 문재인정권에서도 어김이 없다.

정부지분이 없는 민간기업 포스코는 여전히 공기업인양 정권의 전리품으로 전락했다. 국민주로 매각된 후 김영삼–김대중-노무현-이명박-박근혜-문재인정권이 들어설 때마다 포스코회장은 수난을 겪었다.

권회장의 퇴진으로 KT 황창규 회장의 거취도 관심거리다. KT와 포스코는 정권이 출범할 때마다 회장퇴진이 이어졌다.

황회장도 지난해 연임됐지만, 최근 경찰의 무리한 소환조사 등으로 수난을 겪고 있다. 그는 세계최초로 지난해 평창동계올림픽을 통해 선보인 5G사업을 성공시키려는 간절한 소망과 의지가 꺾일 가능성이 높다. 대한민국 경제의 미래먹거리인 5G사업을 본궤도에 올려놓고자 하는 그의 희망은 바람앞의 등불과 같은 상황이 됐다.  
 
권회장이 퇴장키로 한 데는 정권의 보이지 않은 외압과 국세청과 검찰 경찰 등 사정당국의 전방위 압박, 관제언론의 악의적 흠집내기 보도등이 총동원됐다. 문재인대통령의 미국 베트남 중동 등 해외순방시에도 수행기업인 명단에서 배제됐다. 국세청은 조사4국을 동원해 대대적인 세무조사를 벌이고 있다. 그가 하려는 사업마다 제동이 걸리는 일이 벌어지고 있다.

정권에서 조여오는 압력으로 인해 그로선 더이상 할 일이 없어진 셈이다. 포스코건설이 시공중인 부산 해운대 엘시티추락사고와 관련해서도 경찰수사가 본격화하고 있다.

권회장이 신성장동력으로 추진해온 리튬 등 희귀자원 해외투자에 대해도 친여언론에선 거대한 부실투자로 난타했다. 자원사업의 특수성을 전혀 이해하지 못한 언론들이 정권과 코드를 맞추려 부실보도 편파보도를 일삼았다.

권회장에 대한 외압을 행사하거나 권력을 남용한 인사들은 차기정권에서 사법처리될 가능성이 높다.

SK그룹도 브라질 광구를 개발하려다 2조원을 날렸다. 자원개발에는 리스크가 수반된다. 석유확보를 위해서는 10개의 시추공을 뚫어 1개에서 석유가 나오면 다행이다. 석유와 철광석 리튬 등 전략자원 확보를 위해선 국가와 대기업들이 총대를 메는 수밖에 없다. 자원개발은 단기간에 성과를 볼 수 없다. 최근 포스코와 권회장의 자원개발에 대한 정권과 언론의 시각은 여자가 임신하자마자 아이가 나오지 않는다고 비난하는 것과 같다.  

   
▲ 권오준 포스코회장이 마침내 타올을 던졌다. 정권의 유무형 압박에 중도퇴진키로 했다. 정권의 전리품으로 간주하는 포스코회장 수난사는 지배구조가 바뀌지 않은한 반복될 것이다.

권회장은 연임이후 1년간 극심한 스트레스에 시달렸던 권회장은 마침내 링에 타올을 던졌다. 불면의 밤을 보내고, 이가 빠질 정도로 심적 육체적 고통을 겪어왔다. 어느 누구라도 현정권의 거대한 압박에 손을 들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지난해 최순실 국정농단사태와 관련해 검찰 수사를 받는 등 곤욕을 치르면서 조짐이 좋지 않았다. 권회장은 최순실의 K-스포츠재단 출연요구에 대해 이사회의결을 거쳐 투명하게 냈다. 이사회결의사항을 공시까지 한 출연기업은 포스코가 유일했다. 그런데도 검찰은 권회장을 소환하는 등 강하게 압박했다.  

그는 위기에 처했던 포스코를 다시금 반석에 올려놓은 만큼 이쯤해서 용퇴하는 게 최선이라고 생각한 듯하다. 최근까지 창업50년 비전선포를 하고, 새로운 50년을 향해 전진하려 했다. 상황은 그가 더 이상 전진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했다. 이제 멈춰야 했다. 

이공계 출신의 공학박사로선 무섭게 불어닥치는 정권의 창과 검에 맞설 수 없다고 판단한 듯 하다. 전임 정전회장처럼 기소와 재판 등 온갖 험한 꼴을 당한 것을 되풀이하고 당하고 싶지 않을 것이다.

용퇴하는 권회장은 재임기간 준수한 경영실적을 보였다. 전임 정준양 회장 시절 방만했던 경영을 대수술한 것이 돋보인다. 비주력 계열사 매각등을 통해 덩치를 71개에서 38개로 축소했다. 정전회장 시절 적자까지 기록했던 재무구조도 급격히 개선했다. 1조원가량 남았던 유보금을 7조원대로 늘린 것이 대표적이다. 최근엔 분기당 1조원의 영업이익을 내는 초우량철강메이커로 도약시켰다. 부채비율도 67%로 2010년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포스코의 본원적인 경쟁력을 회복하는 데 성공을 거둔 셈이다.

정전회장이 이명박정권과의 유착의혹에다 방만경영에 따른 재무구조 악화등으로  C~D학점을 받았다. 권회장은 A학점을 받을만큼 경영을 반석에 올려놓았다.  
그는 포스코의 새로운 50년을 위한 신성장동력을 마련하다가 물러났다. 철강사업에 치중된 사업구조를 철강과 인프라(건설 무역, 에너지), 신성장(에너지저장사업, 리튬 니켈 이차전지)으로 다양화하는 비전을 내놓고 이의 실현을 위해 분투해왔다. 미래 비전 실현은 차기회장 등 후배들이 해야 할 몫이 됐다.

권회장 퇴진이후 차기회장이 누가 올지는 여전히 불투명하다. 포스코 내부출신이냐, 문재인대통령 대선켐프등의 켐코더(캠프, 코드, 더불어민주당)인사인지도 드러나지 않고 있다. 내부가 아닌 외부출신이 낙하산타고 내려온다면 포스코는 지배구조 리스크가 커질 것이다. 차기회장을 내려보내려고 해도 포스코출신 철강맨을 염두에 둬야 한다. 외부출신을 무리하게 낙하산타고 보내면 포스코는 격심한 소용돌이에 휘말릴 것이다.

포스코회장 수난은 문재인정권이후에도 반복될 것이다. 정권마다 되풀이되는 회장 퇴진문제를 개선하려면 지배구조를 뜯어고쳐야 한다.

주인을 찾아주는 것은 현재론 쉽지 않다. 산업의 쌀을 생산하는 포스코를 특정오너기업에게 주는 것에 대한 국민적 역풍이 만만치 않을 것이다. 현 단계에서 최선의 방법은 몇 개의 과점주주들이 지분을 갖고 자율경영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수년전 우리은행이 기관투자자들에게 분산매각된 것을 벤치마킹해야 한다.

권회장의 퇴진과정에서 교훈을 얻어야 한다. 세계최고의 경쟁력을 가진 포스코는 지배구조의 불안과 취약성으로 인해 글로벌경쟁력이 약화될 것이다. 포스코가 흔들리는 것은 제조업과 국가경제에 해악을 끼치는 것이다. 포스코 지배구조 안정을 위한 지혜를 모아야 할 때다.

지금의 이사회는 있으나마나한 허약한 지배구조가 됐다. 외압을 전혀 막지 못하는 거수기로 전락했다. 정권의 눈치를 보지 않은 독립적인 이사회로 거듭나야 한다. 언제까지 포스코를 정권의 전리품으로 농단해야 하는가? 답답하고 침통하다. /이의춘 미디어펜 대표  
[미디어펜=이의춘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