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측 "사장 퇴진목적 불법파업, 징계 등 엄벌 불가피" 강조

세월호 참사보도와 관련한 문제로 내홍을 겪어온 KBS노조가 29일 총파업을 선언했다. 새벽 5시부터 이루어졌다. 이번 파업에는 KBS 1노조, 2노조가 참여했다.

양대노조는 파업찬반 투표를 거쳐서 파업을 하는 것이므로 문제가 없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회사측은 "노조파업은 길환영 사장 퇴진을 목적으로 한 명백한 불법파업"이라며 강경대응 방침을 밝혔다. 노조와 회사측간의 강대 강 대결로 공영방송 KBS의 파행이 장기화할 것으로 우려된다. 현재 저녁 메인뉴스등은 단축돼 방송되고 있다.  사측은 "불법행위에 대해서는 타협과 관용이 없다"면서 "사규위반에 따른 징계책임과 불법행위에 따른 민형사상의 책임을 엄격하게 적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노사의 대립이 격화하면서 공영방송의 주인인 국민들의 불만도 커지고 있다.  

다음은 KBS회사측이 발표한 성명서 전문이다.

"회사의 거듭된 자제 촉구에도 불구하고 양 노조는 오늘 5시부터 총파업을 선언하였습니다. 위기극복을 위해 노사가 힘을 모아도 모자랄 상황에서 양 노조가 극단적인 선택을 한 것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합니다.  회사는 이미 수차례 이번 파업이 목적, 절차 등 모든 면에서 노조법이 요구하는 정당한 파업의 요건을 갖추지 못한 불법파업임을 밝혀왔습니다. 교섭대표노동조합이 참여하거나 파업찬반투표 등을 거쳤다고 해서 파업의 불법성이 소멸되는 것은 아닙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 노조의 집행부는 파업의 정당성을 주장하며 조합원들을 위험한 선택으로 내몰고 있으나, 이번 파업은 근로조건과 무관한 사장퇴진을 목적으로 한 명백한 불법파업입니다.
 

회사는 불법행위에 대해서는 타협과 관용이 없음을 명확히 선언하고, 사규위반에 따른 징계책임과 불법행위에 따른 민형사상의 책임을 엄격하게 적용할 것임을 다시 한번 밝힙니다. 내외의 많은 사례에서 보듯이 명분 없는 파업은 노동조합과 조합원들에게 큰 희생을 강요하고 회사에도 회복하기 어려운 상처를 남길 뿐입니다.
 

노동조합은 파국의 길을 고집하지 말고 노조법과 단체협약이 보장하는 제도의 틀 안에서 이성을 가지고 KBS의 발전과 미래를 논의해 줄 것을 촉구합니다.  회사는 항상 열린 마음으로 노동조합의 의견을 수렴할 준비가 되어있습니다. 지방선거와 월드컵 등으로 공영방송의 역할이 절실히 요구되는 상황에서 노동조합과 조합원 여러분의 현명한 판단을 촉구합니다. "[미디어펜=이의춘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