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김소정 기자]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6.12 북미 정상회담을 전격 취소한 것을 놓고 미국과 북한 간 마지막으로 공개적인 협상을 벌이기 시작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즉, 그동안 물밑조율을 해온 미국과 북한이 비핵화 로드맵에서 의견을 좁히지 못했고, 이런 상황에서 트럼프의 불가피한 결정이었다는 것이다.

표면적으로는 북한의 김계관 외무성 1부상에 이어 최선희 외무성 부상의 공개적인 백악관 참모들에 대한 비난이 연달아 나온 직후 트럼프 대통령이 “극도의 분노와 공개적 적대감에 근거해 애석하게도 지금 시점에서 회담을 하는 건 부적절하다고 느낀다”고 회담 취소 이유를 밝혔다.

하지만 외신에 따르면,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같은 날 상원 외교위 청문회에 출석해 지난 며칠간 북한과 소통이 안됐다고 공개했다. 그는 “회담이 취소된 것이 매우 실망스럽지만, 그렇게 놀랍지는 않았다”며 “지난 며칠간 우리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약속한 대로 회담을 준비하려 했지만, 아무런 답변을 듣지 못했다”고 답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전날에도 하원 외교위 청문회에 참석해 지난 방북 당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나눈 대화 내용을 공개한 바 있다. 그는 “‘진짜 비핵화’를 이한 검증 작업의 범위 등 요구사항에 대해 매우 명확히 설명했다”며 “김 위원장도 이를 이해하며 그에 대한 반대급부를 제시했다”고 전했다.

이를 볼 때 북미 간 ‘완전한 비핵화’와 ‘체제보장’을 놓고 빅딜을 위한 물밑 조율이 삐거덕거리던 와중에 문재인 대통령이 방미해 한미정상회담을 가졌지만 결국 트럼프 대통령이 6월12일 북미 정상회담 무산을 발표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처한 것이다.

폼페이오는 당시 6.12 북미 정상회담의 개최 여부에 대해 “그 결정은 궁극적으로 김 위원장에게 달려 있다. 그가 회담을 요청했고 대통령은 만나기로 합의했다”며 “나는 6월12일로 예정된 그 회담이 열릴 것이라는데 매우 희망적”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그런데 이날 최선희 부상은 펜스 미 부통령을 비난하는 담화에서 “저들이 먼저 대화를 청탁하고도 마치 우리가 마주앉자고 청한 듯이 여론을 오도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런 식으로 북한이 과거의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백악관은 그동안 북한이 약속을 위반한 행적을 조목조목 짚었다.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좌)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사진=한국공동사진기자단·연합뉴스


24일 AFP통신에 따르면, 익명을 요구한 한 백악관 고위관리는 기자들에게 최근 북미 정상회담 준비를 위한 싱가포르 실무회담에 북측의 불참 사실을 공개했다. 

이 관리는 “북한은 우리를 바람맞혔다. 북한에 수많은 연락을 시도했으나 아무런 응답이 없었다”며 “이는 심각한 신뢰감 부족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또 이 관리는 풍계리 핵실험장 폐기 행사에 대해서도 “북한은 전문가를 현장에 초청하겠다는 약속을 깨뜨렸다. (현장에 있던) 미국 CBS방송도 ‘검증할 수 있는 전문가가 없다’고 보도했다”고 했다. 

한마디로 이 지경에 이른 것은 미국이 아닌 북한의 책임이란 점을 강조한 것으로 트럼프 대통령이 북미 정상회담 취소 발표를 하기 한두 시간 전쯤 이런 사실이 한국과 일본, 싱가포르에 전해진 것으로 알려졌다. 그리고 트럼프 대통령은 바로 전날 문 대통령을 만나 정상회담을 할 때 북미 정상회담의 연기 또는 취소 가능성을 밝힌 바 있다. 

이번에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 위원장에게 보내는 서한 형식으로 “북미 정상회담은 열리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당신이 이 중요한 정상회담과 관련해 마음을 바꾼다면 주저하지 말고 나에게 전화나 편지를 달라”라고 덧붙였다. 

세계 정상들이 하나같이 “안타깝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북한은 트럼프 대통령 통보 이후 7시간여만에 김계관 1부상의 담화 형식으로 “우리는 대범하고 열린 마음으로 미국측에 시간과 기회를 줄 용의가 있다”며 “아무 때나 어떤 방식으로든 마주앉아 문제를 풀어나갈 용의가 있음을 미국측에 다시금 밝힌다”고 했다.

북미 정상회담이 열리기를 기대하는 마음을 드러낸 것으로 “트럼프 방식이라고 하는 것이 쌍방 우려를 다같이 해소하고 우리 요구조건에도 부합되며 문제해결의 실질적 작용을 하는 현명한 방안이 되기를 은근히 기대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지금까지의 북한의 태도를 볼 때 그동안 남한에 대고 하던 섣부른 강온전략을 미국에 구사하다가 난관에 봉착한 것으로 다시 폼페이오가 김정은을 만나 위기를 넘길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 하지만 풍계리 핵실험장이 이미 폐기된 상황에서 예전보다 더욱 강경해진 미국을 북한이 어떻게 대응할지에 따라 북미 정상회담의 개최 여부도 결정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