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중국 무역전쟁 노심초사…수출 직격탄 가능성도
고용확대 기업 노력 주문에 "무조건 늘릴 수는 없는데…"
[미디어펜=조한진 기자] 재계의 하반기 경영 시계가 점차 좁아지고 있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으로 수출 감소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정부의 요청 사항인 고용 확대도 기업들의 고민으로 부상하고 있다. 대내외에서 압박을 받는 기업들은 출구전략을 고민하고 있지만 해법을 찾기 어려운 상황이다.

18일 재계에 따르면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이 본격화될 조짐을 보이면서 기업들 사이에서는 우리 수출에 부정적 여파가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 수출입 컨테이너사 쌓여 있는 부산신항 부두 전경 /사진=연합뉴스

최근 미국과 중국은 첨예한 무역전쟁을 예고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500억달러(약 55조원)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한다는 결정을 내리면서 양국의 갈등이 다시 촉발됐다. 중국 역시 같은 규모의 미국산 제품에 관세를 매긴다는 입장이다.

중국의 대미 수출이 줄어들 경우 우리의 대중 수출에 타격이 불가피 하다. 현대경제연구원 조사 따르면  미국이 500억달러 규모의 중국 수입품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해 미국의 대중국 수입이 10% 감소하면 한국의 대중국 수출은 282억6000만달러(31조원) 줄어들 것으로 예측됐다. 특히 전기장비와 정보기술(IT), 유화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클 전망이다.

미국과 중국 ‘G2’의 무역전쟁이 본격화 될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갈리고 있다. 그러나 주요수출국에 대한 변동성이 확대되면서 기업들은 촉각을 곤두 세우고 있다. 딱히 해법을 찾기 어려운 상황이라 답답함이 더한 상황이다. 신흥국 위기설과 이탈리아와 스페인의 정치적 불확실성 등 수출 시장에 먹구름이 짙어지는 가운데 ‘G2’의 갈등까지 고조될 경우 하반기 경영 환경은 더욱 악화될 가능성이 있다.

한 대기업 관계자는 “미국과 중국의 정치적 이슈라 기업 입장에서는 할 수 있는 일이 거의 없다”며 “상황만 모니터링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한편에서는 관세 부과 시점까지 시간이 남은 만큼 미국과 중국의 협상 가능성이 유효하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박석중 신한투자금융 연구원은 “최악의 시나리오를 염두에 두어야 겠지만 봉합 단계로의 진입을 기대한다”며 “그동안의 패턴으로 미루어 보면 중국의 강경한 맞대응 이후 재협상 진행의 수순을 보일 확률이 높다”고 예상했다.

여기에 기업들은 하반기 고용에 대한 부담도 더 짊어질 가능성이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5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706만4000명으로 전년 대비 7만2000명 증가하는데 머물렀다. 이는 2010년 1월 1만명이 줄어든 이후 8년 4개월 만에 가장 저조한 수치다.

정부는 충격에 휩싸인 모습이다. 경제 정책을 책임지고 있는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최근 “5월 고용동향 내용이 충격적”이라고 심각성을 인정했다. 정부는 업종·계층의 맞춤형 대책을 내놓겠다고 하면서 시장과 기업의 노력도 주문했다. 김 부총리는 “그동안 정부가 일자리 창출의 마중물 역할을 하려고 노력을 해왔지만 기업과 시장에서 ‘펌핑’이 부족해 일자리 창출에 미흡한 점도 없지 않았다”고 했다.

재계에서는 이 같은 부 총리의 발언을 두고 고용을 더 늘리라는 정부의 시그널이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정부 눈 밖에 날까 노심초사하는 기업을 입장에서는 쉽게 넘기기 어려운 대목이다.

그러나 기업들은 문재인 정부의 핵심 정책인 고용 확대의 취지는 공감하지만 무작정 인원을 늘리기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52시간 근무제가 다음 달부터 시작되고, 대내외 경영 환경의 불확실성이 가중되는 가운데 채용 확대에 따른 고정 비용 상승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이다.

재계 관계자는 “채용 확대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지만 늘리라고 해서 무조건 할 수 있는 일은 아니다”라며 “상황이 어려운 기업들의 경우 인원이 늘어나면 더 힘들어 질 수 있는 만큼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조한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