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자원 통합’, ‘차별화된 네트워크’, ‘플랫폼 역량’ 강조

황창규 KT 회장은 11일 오전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모바일 아시아 엑스포 2014(MAE 2014)’에서 “IoT 시장의 조기 활성화를 위해 통신사들의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황창규 회장은 이날 “통신사의 새로운 미래성장 동력인 IoT 산업의 조기 활성화를 위해서는 글로벌 표준 정립과 함께 IoT 데이터를 공유하는 허브 역할이 필요하다”며 “기반 인프라를 제공하는 통신사를 중심으로 IoT 서비스를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를 창출하자”고 말했다.

   
▲ 황창규 KT 회장/KT 제공

이어 “IoT 시대가 꽃을 피우기 위해서는 통신사업자뿐 아니라 창의적 아이디어를 가진 스타트업들과도 협력이 필요하다”며 “IoT 산업 협력의 장을 마련해 공통된 비전과 표준기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공유할 수 있는 글로벌포럼(IoT Eco Forum) 출범을 제언한다”고 덧붙였다.

IoT는 인터넷으로 연결된 사물들의 상태를 수집•분석•융합해 지능화된 정보로 다양한 목적의 의사결정과 각종 제어를 지원하는 기술로 새로운 산업을 창출해 창조경제를 견인할 수 있는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황 회장은 “센서 기술의 발달, 스마트 디바이스의 확대, 기가급 모바일 브로드밴드 확산, 클라우드 컴퓨팅과 빅데이터 분석 등 혁신적인 기술 발전으로 더 스마트한 IoT 세상이 오고 있다”며 “정보통신기술(ICT)을 보유한 통신사들이 주도적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를 위해 통신사는 IT 역량을 통합하고 품질이 보장된 차별화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범용성이 높은 개방형 플랫폼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황창규 회장은 “IoT 시대를 맞아 KT는 기가인프라를 기반으로 개방형 플랫폼을 구축하고 그 위에서 다양한 미래 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가토피아 시대, 스마트 동반자(Smart Enabler in GiGAtopia)’로의 도약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기가토피아를 향한 KT의 도전은 우리 모두의 과제로 모든 것이 연결된 IoT 세상에서는 어느 누구도 혼자서 모든 것을 이룰 수 없다”며 “서로 간의 협력을 통해 공동 번영을 위한 IoT 르네상스를 꽃피우자”고 말했다. [미디어펜=권일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