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도·싱가포르 순방 일정을 마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13일 오후 성남 서울공항에 도착, 손을 흔들고 있다./청와대 제공


[미디어펜=김소정 기자]문재인 대통령이 신남방정책의 핵심 국가인 인도·싱가포르를 방문하는 5박6일간의 순방 일정을 모두 마무리하고 13일 오후 성남 서울공항에 도착했다. 

문 대통령은 이번 순방을 계기로 신남방정책을 본격 시작하는 것을 알리는 동시에 북한의 비핵화 이후 남북경제공동체 발전을 제시하고, 북미간 비핵화 협상에서 중재자 역할을 강조하는 성과가 있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문 대통령은 지난 8일 인도로 출국해 10일 나렌드라 모디 총리와 정상회담을 갖고 현재 200억 달러 수준인 양국의 교역수준을 2030년까지 500억 달러로 확대하기로 합의했다. 초고속 성장 중인 인도와 경제교류를 확대해 신성장동력을 확보하는 미래비전성명도 채택했다.

특히 한‧인도 정상회담에서 문 대통령과 모디 총리는 상호 방문을 정례화하고, 양국 정부 고위급 소통 채널을 확대하기로 했다. 두 정상은 대기업뿐 아니라 양국 중소기업과 스타트업 교류를 늘리는 방안도 논의했다. 인도의 대규모 인프라사업에 우리나라 기업이 참여하는 안건도 다뤄졌다. 

또한 문 대통령은 취임 후 처음으로 삼성전자 인도 공장인 노이다 공장 준공식에 참석해 향후 친 기업 행보가 펼쳐질지 주목받았다. 문 대통령은 지난 9일 인도 최대 휴대폰 생산시설인 삼성전자 제2공장 준공식에 참석해 취임 후 처음으로 이재용 부회장과도 만났다. 

문 대통령은 준공식 시작 전 이 부회장과 5분간 접견하는 기회를 갖고 “한국에서도 투자를 많이 하고, 일자리도 많이 만들어 달라”고 말해 삼성의 일자리 창출 역할을 당부했다.

문 대통령은 다음날인 10일 인도 총리실 영빈관에서 양국 기업인들과 만난 CEO라운드테이블에서는 쌍용자동차 최대 주주인 아난드 마힌드라 마힌드라그룹 회장을 만나 쌍용차 해고자 복직 문제 해결을 당부했다.

11일 문 대통령은 싱가포르로 이동해 다음날인 12일 리센룽 싱가포르 총리와 정상회담을 갖고 공동언론발표를 통해 아세안과의 관계를 한반도 주변 4강 수준으로 격상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싱가포르는 올해 안세안 의장국이며, 두 정상은 역내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을 연내 타결할 수 있도록 협력하기로 했다.

양국은 현재 200억 달러 수준인 양국 교역 규모를 늘리기 위해 이중과세방지협정을 조속히 마무리해 투자를 촉진하기로 했다. 또 기술력과 자본력을 접목해 4차 산업혁명시대를 함께 준비해나가기로 했다. 특히 두 정상은 특히 이번 회담에서 해외 ‘스마트시티’ 분야에 공동 진출하기로 결정했다.  

이와 함께 양국은 중소기업과 스타트업 간 협력을 확대하기로 했으며, 양국 기업이 공동사업을 발굴하고, 제3국에 공동으로 진출하는 계획도 협의했다. 이번에 문 대통령은 리 총리와 신남방정책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협의하고, 한반도의 비핵화와 평화 정착, 역내 평화와 번영을 위한 양국 간 협력 방안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문 대통령은 귀국일 가진 ‘싱가포르 렉처’에서 북한의 비핵화 이후 한반도에서 남북경제공동체를 추진할 것이라고 밝혀 ‘포스트 비핵화’ 구상을 제시했다. 지난해 7월6일 독일을 방문해 발표한 ‘베를린 구상’ 이후 1여년만에 나온 한반도 평화에 대한 청사진으로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을 아시아 지역으로 확대시켜 비전을 제시한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이날 문 대통령은 연설을 통해 최근 비핵화 협상에서 난항을 겪고 있는 북미간 협상 타결에 대해서도 자신감을 보였다. 문 대통령은 “협상 과정에서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는 식의 논쟁이 있을 수 있고, 여러 어려운 과정 있을 수 있다”면서도 “북한과 미국 정상이 국제사회 앞에서 직접 한 약속을 지키지 않는다면 국제사회로부터 엄중한 심판을 받게 될 것”이라는 말로 북미 간 중재역할에 대한 의지를 드러냈다.

귀국한 문 대통령은 참모진들로부터 지난 순방기간 동안 있었던 주요 현안을 보고받고 국정운영 방향을 점검할 계획이다. 이미 인도 순방기간 중 특별지시한 기무사 계엄령 검토 문건에 대한 특별수사를 챙기는 것은 물론 개각과 청와대 조직개편 문제가 있으며, 전날 결정된 올해 8350원으로 책정된 최저임금 인상에 대한 메시지도 나올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