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3D프린팅 산업육성을 위한 프로젝트에 나섰다.
산업통상자원부와 미래창조과학부는 18일 ‘제 1회 3D프린팅산업 발전협의회’를 열고 ‘창의 메이커스(Makers) 1000만명 양성계획 및 제조혁신지원센터 구축·운영계획’을 확정·발표했다.
이번 양성 계획에는 ▲3D프린팅 기술 체험·교육 실시 ▲3D프린터 활용 환경 조성 ▲3D프린팅 콘텐츠 유통체계 마련 등이 포함됐다. 정부는 3D프린팅 기술 체험·교육 실시와 관련해 오는 2020년까지 수준·분야별로 세분화한 교육과정을 개발·보급할 예정이다.
아울러 3D프린팅 온라인·모바일 교육관리시스템을 운영해 오는 2020년까지 약 140만명의 온·오프라인 인력양성 순환구조를 구축키로 했다.
3D프린터 활용 환경 조성과 관련해서는 초·중·고등학교와 과학관, 도서관 등의 무한상상실에 3D프린터 보급을 지원할 계획이다.
정부는 학생, 일반인, 민간기업이 보유한 3D프린팅 콘텐츠의 발굴·등록 및 공공기관, 지자체가 보유한 콘텐츠의 연계 활용을 추진할 방침이다.
민간 및 공공이 보유중인 콘텐츠를 발굴·연계하고 국민들이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3D프린팅 콘텐츠 유통 플랫폼을 구축하는 한편 각종 플랫폼을 연계·지원하는 ‘국가 3D프린팅 종합 포털’을 구축하고 운영할 계획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SW가 상상력을 보이지 않는 솔루션으로 구현해 주는 기술이라면 3D프린팅은 이를 직접 보고 만질 수 있는 제품으로 구현해주는 기술”이라며 “창의문화 형성을 통해 미래 지능형 사회에 대한 선제적 대응능력 강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유경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