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2017년 한국의 15~64세 생산가능인구가 사상 처음으로 감소하면서 고령사회에 진입해 인구절벽이 현실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2017년 인구주택총조사 전수집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기준 15~64세 내국인은 3619만 6000명으로 조사되어 전년 동기 대비 0.3%(11만6000명) 줄었다.
유엔(UN)은 노인인구 비중이 7~14%면 고령화사회,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로 정의하고 있는데, 이번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노인인구 비중이 14.2%로 확인되면서 고령사회로 진입했다.
통계청은 이날 생산가능인구가 2016년 12월~2017년 1월 정점을 찍은 후 감소세로 돌아섰다고 설명했다.
통계청의 이번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65세 이상 인구는 711만5000명으로 5.0%(34만명) 증가했고 0~14세 유소년 인구는 663만2000명으로 1년 전보다 2.0%(13만7000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우리나라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16년 13.6%에서 2017년 14.2%로 늘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
 |
|
▲ 2017년 한국의 15~64세 생산가능인구가 사상 처음으로 감소하면서 고령사회에 진입해 인구절벽이 현실화된 것으로 나타났다./자료사진=인천국제공항공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