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기업 그룹 계열사 5곳 중 하나 꼴로 한계기업 수준에 처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29일 CEO스코어가 상호출자제한 49개 기업집단 중 전년과 비교 가능한 47개 그룹 1418개 계열사(금융사 제외)의 재무현황(2013년 말 기준)을 조사한 결과, 이 같이 드러났다.

CEO스코어의 조사에 따르면 부채비율이 400%를 넘는 곳이 169개, 자본잠식인 곳 110개 등 부실위험에 처한 기업이 279개(19.7%)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과 비교해도 15개 기업이 늘어난 것이다.

   
▲ 삼성 서초사옥/뉴시스

부실위험 기업 수는 금융위원회가 '제2의 동양그룹 사태'를 막기 위해 주채무계열 선정 시 가장 높은 기준점수를 부여하는 부채비율 400% 이상을 대상으로 했다.

CEO스코어는 “다만, 이들 기업 중에는 미래 먹거리를 찾기 위해 투자 단계에 있는 곳도 있다”며 “이번 조사에서 집계된 기업이 무조건 부실하다고 볼 수는 없다”고 설명했다.

동부그룹은 유동성 위험에 처한 계열사를 가장 많이 보유한 곳으로 드러났다. 동부는 51개 비금융 계열사 중 무려 24개(47.1%) 기업의 자본이 잠식됐거나 부채비율이 400%를 넘었다.

동부건설의 부채비율은 533%에 달했고, 동부하이텍도 430%를 초과하는 등 비금융 부문의 주력 계열사가 유동성 위기에 처해 있었다.

이어 GS가 뒤를 이었다. GS는 78개 계열사 중 19개(24.4%)가 부실 위험 기업에 속했다. 주력 계열사 중에서는 GS건설의 부채비율(263%)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CJ(15개·22%), 롯데(14개·22%), 효성(14개·34%)이 3~5위를 차지했고, 코오롱(12개·34%), 태영(12개·32%), SK(11개·14%), 한화(11개·26%), 대성(10개·14%)도 두 자릿수 이상의 부실 위험 기업을 거느리고 있었다.

전체 계열사에서 부실 위험 기업이 차지하는 비중 역시 동부가 47%로 가장 높았고 KCC(44%), 부영(39%), 현대산업개발(36%), 코오롱, 현대(33%), 한국지엠(33%)이 그 뒤를 이었다.

그룹별 부채비율은 현대가 540%로 가장 높고, 한진이 452%로 2위였다.

CEO스코어는 “이들은 선박이나 항공기를 리스 및 구매하는 업종 특성상 부채비율이 높게 나올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말했다.

반면 아모레퍼시픽(17%), KT&G(22%), 영풍(24%), 한국타이어(32%), 현대백화점(37%), 삼성(43%), 태광(45%) 등은 그룹 부채비율이 50% 이하로 매우 우량했다. [미디어펜=권일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