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간 경기침체와 주력업종의 실적부진으로 부실징후 대기업집단과 계열사들이 증가하고 있다. 자산규모 5조원이상 49개기업집단중에서 부채비율이 높고 자본잠식상태에 빠진 곳들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29일 CEO스코어가 상호출자제한 49개 기업집단 중 전년과 비교 가능한 47개 그룹 1418개 계열사(금융사 제외)의 재무현황(2013년 말 기준)을 조사한 결과, 부채비율이 400%를 넘는 곳이 169개, 자본잠식인 곳 110개 등 부실위험에 처한 기업이 279개(19.7%)로 집계됐다. 재벌 5곳 중 한개가 사실상 금융권의 자금지원등으로 버텨가고 있는 셈이다. 이는 2012년에 비해서도 15개기업이 증가한 것이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동양그룹 부도사태이후 추가적인 부실기업 확산을 막기위해 부채비율 400%가 넘는 그룹들을 부실위험군으로 분류해 관리감독을 해오고 있다. 동부그룹은 주력인 철강과 건설산업의 위기로 가장 힘든 터널을 지나고 있다. 동부는 51개 비금융 계열사 중 24개(47.1%) 계열사의 자본이 잠식됐거나 부채비율이 400%를 넘었다. 동부건설의 부채비율은 533%나 됐다. 반도체조립업체 동부하이텍도 430%를 초과했다.
실적이 좋지 않은 GS칼텍스정유와 GS건설 등을 거느리고 있는 GS그룹도 78개 계열사 중 19개(24.4%)가 부실 위험 기업군에 빠져 유동성위기에 몰리고 있다. GS그룹의 경우 자본잠식계열사 대부분은 코스모 계열의 방계사였다. 주력 계열사 중에서는 GS건설의 부채비율(263%)이 비교적 높았지만 올들어 구조조정과 적자털어내기, 채산성위주의 해외영업확대를 통해 재무구조가 개선되고 있다. GS건설의 경우 지난해 무려 1조원대의 적자를 기록했지만, 올해는 수천억원대의 흑자반전이 예상되고 있다.
CJ(15개·22%), 롯데(14개·22%), 효성(14개·34%)이 3~5위를 기록했다. 코오롱(12개·34%), 태영(12개·32%), SK(11개·14%), 한화(11개·26%), 대성(10개·14%)도 10개이상의 부실 위험계열사를 포함하고 있다.
하지만 아모레퍼시픽, 영풍, 교보생명, 홈플러스, 에쓰-오일 등은 자본잠식 및 부채비율 400% 이상 기업이 하나도 없어 안정적인 재무구조를 보였다.
전체 계열사에서 부실 위험 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을 살펴봐도 동부가 47%로 가장 높았다. 이어 KCC(44%), 부영(39%), 현대산업개발(36%), 코오롱, 현대(33%), 한국지엠(33%)이 그 뒤를 이었다.
그룹별 부채비율은 현대가 540%로 가장 높고, 한진이 452%로 2위였다. 한진과 현대그룹의 경우 현대상선과 대한항공 등 주력사들이 선박이나 항공기를 리스 및 구매하는 업종 특성상 부채비율이 높게 나올 수밖에 없다.
아모레퍼시픽(17%), KT&G(22%), 영풍(24%), 한국타이어(32%), 현대백화점(37%), 삼성(43%), 태광(45%) 등은 그룹 부채비율이 50% 이하로 매우 우량했다. 이어 포스코(54%), KCC(56%), 세아(58%), 현대자동차(66%), 롯데(66%), 미래에셋(73%), SK(87%), CJ(89%), 신세계(95%), LG(99%) 등도 그룹 부채비율이 100% 미만으로 건전했다. [미디어펜=권일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