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몸에 붙이기만 해도 살이 빠진다는 속설과 함께 이른바 ‘다이어트 패치’가 인기를 끌고 있지만 효과가 검증되지 않았고 피부 부작용 사례도 보고되고 있어 소비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소비자원은 지난 2015년 1월부터 올해 6월까지 지난 3년 6개월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다이어트 패치 관련 위해 사례는 총 25건으로 확인됐다고 23일 밝혔다.
위해 증상이 확인되는 22건 중 발진, 가려움, 붓기 등 '피부염 및 피부 손상'이 19건(86.4%)으로 가장 많았다. 아울러 온열효과로 '화상'을 입은 경우도 3건(13.6%)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다이어트 패치의 주 사용계층인 여성이 20건(80.0%)으로 대부분이었다. 연령별로는 외모에 관심이 많은 '20~30대'가 13건(68.4%)이었다.
현재 다이어트 패치는 품목 분류 및 적용 법률 등이 불명확해 안전기준이나 품질표시 등 안전관리가 미흡하다는 지적을 받는다. 소비자원은 업체들이 제품의 효능·효과에 대해 의약품으로 잘못 인식할 우려가 있는 표시·광고를 하는 것으로 확인된다고 지적했다.
소비자원이 시중에 판매 중인 다이어트 패치 15개 제품의 표시·광고실태를 조사한 결과, 조사대상 제품 모두 다이어트, 지방 분해, 셀룰라이트 감소, 질병 치료 등의 표현을 사용해 소비자들이 의약품으로 오인할 우려가 있었다고 부연했다.
조사대상 15개 제품 중 12개 제품(80.0%)은 '붙여서 빼는 OO패치', '비만 예방', '지방 연소' 등 다이어트 패치만 사용해도 체중감소나 몸매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표현하고 있었고, 13개 제품(86.7%)은 '셀룰라이트 완벽케어', '셀룰라이트 관리' 등 셀룰라이트 제거 효능 관련 표현을 사용했다.
아울러 '변비·생리통 완화', '부종·수족냉증·안면홍조에 효능' 등 질병을 치료하거나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 표시·광고한 제품도 7개(46.7%)나 됐다.
이 외에도 제품 사용방법으로 10개 제품(66.7%)이 가려움증, 붓기 등 증상 발생 시에도 냉찜질 후 계속 사용할 것을 권하고 있어 부작용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결과를 토대로 다이어트 패치의 안전관리 방안 마련을 식품의약품안전처에 건의한 상태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