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현지 철도공동조사에는 박상돈 통일부 과장, 임종일 국토교통부 과장 등 관계부처 담당자들과 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시설공단 관계자 등 총 28명이 조사인원으로 참여할 계획이다. 사진은 남북 철도망 연결계획./국토교통부


[미디어펜=김규태 기자]남북은 오는 30일부터 총 18일간 북한 철도를 따라 약 2600여km를 이동하며 남북철도 북측구간 현지 공동조사를 시작하기로 합의했다.

통일부와 국토교통부가 공동으로 배포한 보도자료에 따르면, 경의선은 개성~신의주 구간을 오는 30일부터 12월5일까지 6일간(약 400km), 동해선은 금강산~두만강 구간을 12월8일부터 17일까지 10일간(약 800km)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 동해선 금강산~두만강 구간은 분단 이후 우리 철도차량이 처음으로 운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통일부와 국토교통부는 경의선의 경우 개성~신의주 구간에 대해 지난 2007년 12월 7일간 현지조사를 실시한 바 있다.

이번 현지 철도공동조사에는 박상돈 통일부 과장, 임종일 국토교통부 과장 등 관계부처 담당자들과 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시설공단 관계자 등 총 28명이 조사인원으로 참여할 계획이다.

정부는 북한측의 경우 철도성 관계자 등 우리측과 비슷한 인원으로 조사단을 꾸릴 것으로 예상했다.

현지 공동조사를 위해 운행되는 우리측 철도차량은 기관차를 포함한 7량이 서울역에서 오전6시30분 출발하여 오전8시경 도라산역에 도착한다.

도라산역에서 간단한 환송행사를 진행한 후 오전8시30분경 도라산역을 출발하여 오전9시경 북측 판문역에 도착해 우리측 기관차는 분리·귀환하고, 북한 기관차를 우리측 철도차량 6량과 연결해 16일동안 북측 구간 조사를 진행하게 될 예정이다. 북측 차량 규모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우리측 철도차량 6량은 발전차, 유조차, 객차, 침대차, 침식차, 유개화차(물차)로 구성된다.

조사 열차는 우선 경의선 조사를 위해 개성에서 출발해 신의주까지 조사하고, 평양으로 내려와서 평라선을 이용하여 원산으로 이동한다.

이후 원산에서 안변으로 내려와 우리측 동해선 조사단을 싣고 두만강까지 조사한 후에 원산으로 내려와서 다시 평라선을 이용해 평양에 도착, 개성에서 우리측 기관차에 연결하여 서울역으로 귀환할 계획이다.

정부는 조사방식에 대해 "조사열차로 선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북한철도 시설 및 시스템 분야 등을 점검하고, 북측 공동조사단과 조사결과공유 등 실무협의를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이번 철도 현지조사에 대해 "남북철도 현지 공동조사는 4.27 판문점선언 및 9.19 평양공동선언의 성과에 따른 후속조치로 한미 워킹그룹을 통한 미국의 지지와 유엔의 대북제재 면제 승인을 받아 이번 조사에 착수하게 되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이번 현지 공동조사를 통해 북측 철도 시설 실태를 파악하고, 향후 현대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다만 정부는 "실제 공사는 북한의 비핵화 진전에 따라 추진하게 될 것"이라며 "남북간 합의한 바와 같이 착공식을 연내 개최하는 문제에 대해 북한과 협의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와 관련해 "연내 착공식은 남북 간에 합의된 부분이고 합의가 이행될 수 있도록 준비하는 중"이라며 "공동조사를 다 마친 후 착공식을 갖는 순서"라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