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원우 기자]최근 ‘고의 분식회계’ 판정을 받은 삼성바이오로직스 상장폐지에 대한 한국거래소 본심사가 다가오면서 삼바의 상장폐지 여부를 둘러싼 논쟁도 가열되고 있다. 

증권 시장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삼바를 상장폐지 시켜야 한다는 여론이 탄력을 받는 와중에 지나친 희생양 삼기는 지양돼야 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다.

1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한국거래소가 삼성바이오로직스 상장폐지 여부를 심사하는 기업심사위원회 구성을 최근 완료했다. 이번 주 중에 기심위 회의가 개최되면서 관련 논의가 시작될 전망이다.

   
▲ 사진=삼성바이오로직스


이번에 구성된 기심위는 올해 말까지 삼성바이오의 상장 유지, 상장폐지, 혹은 1년 이내의 개선 기간 부여 등 3개 선택지 중에서 하나를 결정한다. 교수·회계사·변호사 등 외부 전문가 6명과 거래소 소속 1명 등 총 7명의 위원들이 논의를 진행한다. 

이번 사건은 ‘삼바 사태’로 지칭될 만큼 사회적으로 워낙 첨예한 논쟁을 야기했다. 그런 만큼 상장폐지를 둘러싼 여론전도 과열 양상을 보이고 있다. 상장폐지를 원하는 측에서는 상폐야말로 국민들이 납득할 수 있는 삼바 사태의 유일한 결말이라는 주장을 펴고 있다.

새 정부 들어 여론 형성과 분출의 장이 되고 있는 청와대 국민청원 사이트에는 삼성바이오 관련 청원‧제안이 이미 300건 넘게 올라온 상태다. 이 중 다수는 상장폐지를 포함해 삼성바이오에 대한 ‘엄벌’을 촉구하는 강경한 내용이다.

상장폐지 찬성론자들은 주로 한국 증권 시장의 투명성과 신뢰성 문제를 강조한다. 국민청원 사이트에 올라온 ‘삼성바이오 상장폐지 해야 할 이유’라는 제목의 청원을 보면 “우리만 거래하는 주식시장이 아닌데 신뢰를 무너뜨린다면 해외에서 누가 투자를 하겠느냐”고 질타하면서 삼성바이오의 상장폐지를 촉구하고 있다.

반면 삼성바이오의 상폐는 과도한 조치라는 반대 의견도 존재한다. 일단 시가총액이 20조원대에 달하는 초대형 상장 기업이 상폐되는 상황이 올 경우 시장에 불어 닥칠 부작용을 고려해야 한다는 ‘현실론’이 존재한다. 

작년 말 현재 삼성바이오의 개인 소액주주는 7만8640명이고 이들의 보유 주식 711만주(지분율 10.74%)는 당시 시가로 2조 6374억원 수준이다. 현실론자들은 이들 소액주주의 피해를 생각해야 한다는 논리와 함께 상장폐지는 과도한 조치라는 주장을 펴고 있다.

보다 근본적으로 삼바의 고의 분식회계 판정 자체가 ‘희생양 찾기’에 불과하다는 의견도 있다. 익명을 요구한 업계 한 관계자는 이번 사태에 대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승계 문제와 떨어트려서 생각하기 힘들고, 경제 이슈에서 점점 정치 이슈로 변질되고 있다”면서 “이 부회장의 경영권 승계를 막기 위해 분식회계라는 ‘장치’를 동원한 것이라면 한국경제 전체적으로 감당해야 하는 손해가 너무 크지 않나 우려된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