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나광호 기자] 올해 1분기 편의점과 슈퍼마켓의 수익성이 악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반면 인터넷쇼핑과 홈쇼핑 등은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
 |
|
▲ 사진=BGF리테일 |
6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소매유통업체 1000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2019년 1분기 소매유통업 경기전망지수(RBSI)’가 92포인트로 집계됐다. 이는 전분기보다 4포인트 하락한 수치다.
소매유통업 경기전망지수(RBSI)가 기준치인 100을 넘으면 다음 분기 경기가 이번 분기보다 호전될 것으로 예상하는 기업이 많다는 의미다.
업태별 지수를 살펴보면 홈쇼핑(110)과 온라인쇼핑(103)은 경기호전을 기대하는 기업이 많았다.
반면 백화점(94), 대형마트(94), 슈퍼마켓(80), 편의점(71) 등 오프라인 업태들은 부정적 전망이 많았다.
백화점은 지난 분기보다 지수가 11포인트 하락해 기준치 100을 하회했다. ‘VIP고객’의 전체 소비액이 전분기보다 다소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대형마트는 지난 분기보다 5포인트 상승해 94를 기록했다. 1분기에 ‘명절 특수’가 끼어있는 점이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했다.
편의점 전망지수는 17포인트 하락한 71로 집계됐다.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인건비 부담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슈퍼마켓은 1포인트 떨어진 80으로 조사됐다. 동절기를 맞아 주력인 신선식품에서 온라인 배달서비스로 고객이탈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홈쇼핑은 전분기보다 10포인트 하락한 110을 기록했다. 2월은 영업일수가 적고, 연휴에 시청자가 줄기 때문에 1분기 실적은 전분기보다 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T커머스, 모바일 등 신규채널 판매의 꾸준한 성장 기대감으로 호조세를 이어갔다.
온라인쇼핑 전망지수는 103으로 지난 분기보다 4포인트 떨어졌다. 코리아세일페스타, 블랙프라이데이, 광군제 등 대대적인 할인행사로 매출이 크게 늘었던 지난 분기 대비 기저효과가 작용했다.
소매유통업계의 1분기 수익성은 ‘악화될 것’(72.9%)이라는 전망이 ‘호전될 것’(8.5%)이라는 전망보다 많았다.
수익성 악화에 대한 우려는 편의점(88.8%), 슈퍼마켓(67.5%), 대형마트(55.3%) 등의 업태에서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호조세를 이어가고 있는 온라인쇼핑과 홈쇼핑에서는 전분기 수준의 수익을 기대하는 업체가 74.2%, 40.0%로 더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한편, 현시점에서 필요한 정책과제를 묻는 질문에 유통업체들은 ‘규제 완화’(45.6%), ‘최저임금 속도조절’(16.6%), ‘제조업 수준의 지원’(16.6%), ‘신기술 개발 지원’(3.6%), ‘전문인력 양성’(3.1%) 등을 꼽았다.
[미디어펜=나광호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