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오는 26~27일 세트사업 부문 임원들을 대상으로 워크숍을 연다.
20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소비자가전(CE)과 IT·모바일(IM) 부문 전 임원들은 워크숍에서 3분기 실적 개선 등 한계 돌파를 위해 집중 토론을 벌일 예정이다.
수원사업장 등지에서 열리는 워크숍에는 CE와 IM 부문, 경영지원실의 사장·부사장·전무·상무 직급 600여명이 참석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이틀에 걸쳐 실적 개선, 마케팅 강화, 비용절감 방안 등을 논의한다.
이는 캐시카우 역할을 했던 무선사업의 수익성 악화로 2분기 영업이익이 '어닝쇼크'를 기록하자, 실적 개선을 위한 방법과 위기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해법을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삼성전자는 최근 무선사업부 임직원들의 출장비를 삭감하는 등 사실상 비상경영에 나선 상황이다.
삼성전자 무선사업부는 지난 16일부터 임원 해외출장 때 10시간 이내 단거리 비행은 이코노미석을 이용토록 하고 출장비용도 20% 줄이는 등 '허리띠 졸라매기'에 나섰다.
현재 대부분 10대 그룹 임원들은 비행시간과 상관없이 이코노미석보다 2~3배 비싼 비즈니스석을 이용하는 게 일반적이다. 최고경영자(CEO)는 이코노미석보다 5~6배 비싼 퍼스트클래스를 이용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하지만 이번 조치에 따라 무선사업부 임원들은 중국, 일본, 동남아시아 등 단거리 비행 때 이코노미석을 이용해야 한다. 삼성전자는 또 무선사업부 임직원들의 출장비와 숙박비도 20%씩 줄이기로 했다.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임원진은 올 상반기 성과급(목표인센티브·TAI) 수령액 25%를 자진 반납하기도 했다.
이러한 조치는 무선사업부에만 우선 적용됐으나, 이번 워크숍에서 비용절감 방안에 대한 논의가 이뤄지는 만큼 다른 사업부문으로 확대될 가능성도 있다.
한편 일각에서는 비상경영에 돌입한 삼성전자가 조만간 구조조정에 들어갈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 사업을 담당하는 IM 사업부뿐만 아니라 부품·소재(DS), CE 부문도 임원교체 등 일부 구조조정이 이뤄질 것이란 예상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2분기 어닝쇼크로 위기감이 커지면서 조직의 전반적인 분위기가 심상치 않게 흘러가는 것은 사실"이라며 "삼성은 그간 실적이 부진한 사업부를 대상으로 구조조정 등 다양한 방안을 선제로 시행해 왔으며 이러한 차원에서 일부 구조재편 작업이 단행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