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수출기업 300개사 설문조사…현지 정보·바이어 발굴 문제 제기
[미디어펜=나광호 기자]2010년 한·인도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CEPA)이 발효됐지만 여전히 국내 기업들이 인도 수출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발표한 '무역업계가 제시한 대인도 수출환경 개선방안'에 따르면 인도 수입시장에서 한국의 점유율은 2010년 4.4%, 2015년 4.6%를 거쳐 지난해에도 4.5%로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무역협회는 앞서 연간 인도 수출액이 10억달러 이상인 수출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인도 수출환경에 관해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2015~2018년 '인도 수출이 감소하거나 정체하고 있다'고 응답한 업체가 67.6%를 차지했다. 품목별로는 섬유(81.3%)·전자(76.0%)·정밀기계(73.9%)·자동차 및 부품(72.3%) 순이었다.

인도 수출이 정체 또는 감소한 203개사는 수출둔화 요인으로 △현지 네트워크 확보 어려움(27.1%) △생산성 하락(24.1%) △현지생산 증가(20.2%) 등을 꼽았다.

   
▲ 2015~2018년 인도 수출 변화/사진=한국무역협회


현지 네트워크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이유로는 '자체 발굴역량 부족'(49.3%)을 가장 많이 지적했으며, '로컬에이전시 활용 악화'(20.2%)와 '한국 및 인도 정부 지원 부족'(18.2%)이 뒤를 이었다. 특히 기업규모가 작을수록 '자체 발굴역량 부족'을 호소했다.

생산성 하락의 세부 요인으로는 '자재비용 증가'(36.5%), '인건비 증가'(21.7%), '경영 비효율 증가'(3.9%), '재무적 불안정'(3.4%)이 지목됐다.

한·인도 CEPA 미활용 이유를 묻는 질문에는 25.0%가 '활용정보 부족'을 선택했고, '원산지 인증 등 활용방법 복잡'(16.7%), '양허대상 여부 미인지'(15.6%), '효과 미미'(14.6%), '전담인력 부족'(8.3%), '비용 부담'(7.3%), '수입업체의 거부'(2.1%) 등이 뒤를 이었다.

인도 수출이 둔화된 기업들은 가장 필요한 정부 지원으로 '수출 컨설팅 등 정보'(24.1%)를 가장 많이 꼽았고 '기업 매칭'(20.2%), '금융'(19.2%), '인도 주정부와의 협력'(15.8%), 'CEPA 활용'(14.3%) 등도 요청했다.

조의윤 무역연구원 전략시장연구실 연구원은 "성장 잠재력이 큰 인도 시장에서 우리 기업들이 경쟁력을 갖추려면 한·인도 CEPA 개선협정 등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면서 "일례로 자동차 내장용 합성고무의 경우 우리나라는 12.5%의 수입관세를 부과받는 반면 일본은 2011년의 일·인도 CEPA를 통해 무관세 혜택을 적용받아 2012년부터 한국보다 많은 수출액을 기록 중"이라고 강조했다.

[미디어펜=나광호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