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기초학력 저하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읽기나 쓰기, 셈 등의 지도를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30일 교육부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지난해 10월 기초학력 지도 교원 328명(초등 254명·중등 7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이같은 응답이 높았다고 밝혔다.

이번 설문 조사에 응답한 교원 중 68.6%는 기초학력 부진을 예방하는 주요 시기로 '초등 1∼2학년'을 꼽았고, 24.1%는 '초등 3∼4학년'이라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초학력 부진을 예방하기 위해 중점적으로 지도해야 할 영역으로는 51%가 '읽기', '쓰기', '셈하기'를 꼽았다.

보충지도에 대해선 방과 후에 해야 한다는 의견이 56.3%를 기록했다. 보충지도 담당은 담임교사가 해야 한다는 의견이 52.2%, 강사 또는 보조인력이라는 답은 22.7%로 집계됐다.

기초학력 미달 학생의 주요 증상으로는 '우울, 불안, 낮은 자존감 및 학습동기와 같은 정서·행동적 문제', '주의집중 문제', '경계선지능 문제', '읽기곤란 문제' 등이 지적됐다.

이들 학생의 심리·정서 지원은 담임교사가 해야 한다는 의견이 54.6%를 기록했다. 뒤를 이어 상담교사 15.5%, 위(Wee)센터 12.3%, 학습종합클리닉센터 연계 11%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저학년의 입학 초기 적응 활동을 지원키로 했다. 또 읽기와 쓰기, 셈 등의 지도를 강화할 계획이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