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회사 제도를 발명, 동인도회사 일궈...신용을 목숨보다 중시했던 정신
   
▲ 네덜란드를 핍박해 독립전쟁을 유발한 스페인 전성기 때의 왕 필리페2세 [사진=네이버 지식백과]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미국의 대표적 명문대인 예일대학의 임마누엘 윌러스틴 교수는 '자본주의 세계체제'라는 저서에서 '세계 역사상 3대 패권국가'로 20세기의 미국, 19세기 영국과 함께 17세기 네덜란드를 꼽았다.

패권국가란 '자신의 이익에 따라 세계 질서를 주도할 수 있는 힘을 가진 국가'라고 그는 정의했다.

17세기 네덜란드는 그 정도로 막강한 나라였다.

그런데 당시 네덜란드는 강대국이 될 수 있는 '객관적 조건'을 전혀 갖추지 못했다. 

국토의 4분의 1이 해수면보다 낮아, 농경시대에는 살기 힘든 땅이었다. 비가 오면 빗물이 빠져나가지 못해 사람들은 '클룸펜'이라는 나막신을 신었고, 풍차로 물을 퍼내야만 했다.

그런데 역설적으로 이 '물과의 전쟁'이 기업가 정신의 뿌리였다.

지리적으로는 프랑스와 독일 등 강대국들 사이에 끼여 고난의 연속이었다.

특히 16세기에는 스페인의 지배 하에서 핍박을 받았다. 칼벵의 종교개혁을 받아들여 개신교가 다수였던 네덜란드 북부는 '카톨릭의 수호자'를 자처한 스페인 왕실의 타깃이 됐다. 스페인 필리페2세는 네덜란드에 가혹한 세금을 물렸다.

마침내 1581년 북부 7개 주는 독립을 선언하고, 스페인과 독립전쟁을 벌였다. 그리고 영국과 힘을 합쳐 당시 세계 최강국이던 스페인을 물리쳤다. 1648년 마침내 80년 동안의 독립전쟁을 승리로 끝냈다.

네덜란드는 '독립하자마자 강대국'이 됐다. 

스페인, 포르투갈을 제치고 '세계 해상무역의 패자'가 됐고, 지금의 인도네시아를 식민지화 하는 등 곳곳을 지배했다.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했을까?

네덜란드는 독립하기 훨씬 전부터 해상무역이 발달한 나라였다. 당시 '유럽에서 선박이 가장 많은 국가'이기도 했다.

대항해의 시대, 동양과의 해상무역은 엄청난 이익이 보장되는 것이었지만, 위험 또한 그만큼 컸다. 후추, 비단, 도자기 등 동양의 진귀한 상품을 실은 배가 무사히 돌아오면 투자자는 큰 돈을 벌 수 있지만, 출항한 배가 무사히 돌아오기를 바라는 것은 '엄청난 도박'이었다. 

또 대양 항해에 필요한 선박을 건조하고, '반쯤은 군인'인 선원들을 모집하며, 대포들을 배에 싣는 일에는 막대한 자금이 필요했다.

그래서 포르투갈과 스페인의 모험가들은 왕실의 지원에 의존해야만 했다.

네덜란드는 이런 문제를 해결할 묘안을 찾아냈다. 바로 '주식회사 제도의 발명'이었다.

다수의 사람들이 돈을 모아 기업을 설립하고, '이익과 위험을 공유한다'는 이 혁명적인 발상은 근.현대 기업들의 기본철학이 됐다. 

이렇게 설립된 네덜란드의 동인도회사는 당시 '세계 최대의 글로벌 기업'이었다.

네덜란드의 발흥에는 '유대인들이 큰 몫'을 했다.

스페인의 추방령으로 쫓겨난 유대인들이 향한 곳이 바로 네덜란드였다. 안트베르펜의 경우, 한때 도시인구의 절반이 유대인일 정도였다.

동인도회사 주주의 절반도 유대인이었다.

이들은 네덜란드를 '금융업의 중심 국가'로 만들었다.

유대인들이 주도하는 민간은행인 암스테르담 은행은 '세계 최초의 기축통화'인 지폐를 만들어 낸 은행이다. 당시 유럽에는 금속으로 만든 주화가 1000개가 넘었기에, 표준이 되는 통화가 필요했고, 암스테르담 은행이 세계 최초로 지폐를 대량 유통시켜 '거래비용'을 없앴다.

지폐는 금화나 은화보다 만드는 비용이 훨씬 덜 들고, 운송도 쉽다. 네덜란드가 패권국가가 되는 데 금융이 큰 역할을 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따로 있다. 바로 '신용을 목숨보다 중시'한 네덜란드인들의 정신이다.

가장 좋은 예가 빌렘 바렌츠 선장의 이야기다.

바렌츠는 1596년 북극해의 노바야젬로 섬을 거쳐 아시아로 가는 북극해 항로를 개척하려다 실패했다. 이 항로는 2009년에야 처음 열렸다.

북극의 혹한에 바렌츠의 선원들은 절반이 목숨을 잃었다. 그러나 '고객들의 화물'에는 전혀 손을 대지 않았다. 구사일생으로 살아돌아온 그들은 맡겨진 화물을 고객들에게 전혀 손상 없이 돌려줬다.

자신의 목숨보다 고객의 화물을 더 중요시한다는 것이 증명되자, 네덜란드 배에 대한 수요가 폭증했다.

네덜란드의 '진정한 성공요인은 신용'이었다.

그들은 상설시장과 거래소를 개설해 거래비용을 줄였고, '자본시장을 발달'시켰다. '시장경제와 자본주의는 신용의 기초 위에서 발전'하게 마련이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