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없던 회계처리가 갑자기 분식 회계?
“분식회계 아냐…국제회계기준 대로 처리”
삼성 죽이기 한통속 ‘참여연대‧금감원‧검찰’
   
▲ 조우현 산업부 기자
[미디어펜=조우현 기자]삼성바이오로직스는 성공한 기업이다. 설립 6년 만에 흑자 전환에 성공 했고, 2016년 11월 코스피에 상장된 후 시장가치가 지속적으로 상승 중이다. 물론 정부가 ‘분식회계’니 ‘증거인멸’이니 하는 문제를 언급하면서 주가가 폭락하긴 했지만, 여전히 20조원 가량의 시가 총액을 유지하고 있는 견조한 기업이다.

하지만 이 앞날 창창한 기업의 미래가 점점 불투명해지고 있다. 기업의 경쟁력이 부족해서가 아니다. ‘정치적 목적’이 다분한 표적 수사가 그렇게 만들었다. 참여연대의 의혹 제기에서 시작된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삼성바이오에피스의 회계 문제는 금융감독원과 검찰의 공권력, 그리고 일부 언론들의 확대 재생산으로 걷잡을 수 없이 커졌다. 

국가 경제에 이바지하는 소위 ‘잘 나가는’ 기업을 바라보는 일부 시민단체의 비뚤어진 시각은 사상의 자유, 표현의 자유 차원에서 바라보는 게 마땅하다. 하지만 그런 그들이 권력을 잡으니 멀쩡한 기업 뒤에 ‘분식 회계’라는 말이 따라 붙고, 급기야 분식 회계를 감추기 위해 ‘증거 인멸’을 한 범죄 집단이 되게 만들었다. 

그뿐인가. ‘분식 회계’에 ‘윗선’이라는 말로 자극을 더했다. 윗선이라 함은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을 의미한다. 이 부회장의 승계에 유리한 구도를 만들기 위해 분식 회계를 했고, 그것을 들키지 않기 위해 공장 바닥을 뜯어 증거를 묻었다는 것이 저들의 주장이다. 이 자극적인 소문은 며칠 동안 포털 검색어에 오르내리며 삼성을 범죄 집단으로 몰아가고 있다.

   
▲ 인천 송도에 위치한 삼성바이오로직스 본사 전경 /사진=삼성바이오로직스 제공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IFRS 기준대로 처리”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난 2012년 미국의 ‘바이오젠’과 합작해 삼성바이오에피스를 설립했다. 당시 삼성바이오는 에피스 지분 대부분을 보유하고, 바이오젠은 ‘콜 옵션’을 행사할 수 있도록 했다. 때문에 삼성바이오는 에피스에 대해 94.61%의 지분을 가지고 있었고,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에피스에 대한 회계 처리를 ‘연결 재무제표’로 작성했다.

이후 2015년 말 바이오젠에 부여한 콜옵션을 지배력 판단에 반영해야 하는 회계적 상황이 발생해 ‘지분법 관계회사’로 변경했다. 당시 이 회계 처리는 삼정, 삼일, 안진 등 3개 대형 회계법인으로부터 “적정”판단을 받았다. 이후 해당년도 재무제표가 포함된 증권 신고서를 금감원에 제출했고, 적합 통보를 받아 2016년 11월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코스피에 상장됐다.

그러나 금감원 산하 증권선물위원회는 지난해 11월 14일 삼성바이오가 2012년~2014년 까지 자회사인 에피스를 지분법으로 회계처리하지 않고 연결대상으로 처리한 것에 대해 2012년~2013년은 과실, 2014년은 중과실로 의결했다. 이 같은 오류를 시정하지 않은 채 2015년부터 지분법을 적용해 관계회사로 변경한 것은 고의적 회계기준위반이라는 것이다. 

문제없던 회계처리가 갑자기 분식 회계? 

앞서 금감원은 지난 2016년 12월,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삼성바이오에피스의 회계처리에 “문제없다”고 판단했었다. 하지만 돌연 입장을 바꾼 것은 참여연대 출신인 김기식 씨가 금융감독원 원장 자리에 오른 직후인 2018년 5월부터다. 금감원은 같은 해 7월 “2015년 이후의 회계 처리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했다. 

문제없던 회계 처리가 정권이 바뀌니 문제 있다고 판단된 것도 의아한데, 이후에 내린 판단은 더 심각하다. 2018년 11월, 금감원은 2015년 이후의 회계처리 뿐 아니라 애초에 2012년의 회계처리가 문제였다고 지적했다. 무려 금감원이라는 국가기관이 같은 사안에 대해 3차례나  판단을 번복한 것이다. 

판단을 바꾼 금감원은 아무런 손해도, 처벌도 없는데 삼성바이오로직스가 감당해야 할 후폭풍은 상당했다. 본연의 업무에 충실해도 성공 여부가 확실치 않은 냉혹한 시장에서 갖가지 소송에 대응키 위한 인력이 낭비되고 있고, 수장들의 대외활동에 차질이 생겼다. 삼성바이오는 물론 삼성에피스의 경영활동에 제동이 걸린 것이다.

삼성 죽이기 한통속 ‘참여연대‧금감원‧검찰’

만약 삼성바이오로직스가 ‘분식 회계’를 했다는 주장이 힘을 얻으려면 이에 따른 명확한 근거가 존재해야 한다. 분식에 따른 부당 이익이 무엇인지 정확히 밝혀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금융당국은 이에 대한 증거를 입증하지 못했고, 그에 따른 논리도 구현해내지 못했다. 증선위의 고발로 수사에 착수한 검찰 역시 마찬가지다.

검찰은 객관적인 증거를 통해 의혹이 사실이라는 것을 증명해내는 직업이다. 하지만 이들은 이른바 ‘언론플레이’를 통해 여론을 한쪽으로 몰아가는 데 앞장서며 본질을 흐리고 있다. 공장 바닥에서 서버와 노트북이 발견됐다면, 그것이 분식 회계의 증거가 될 만한 것인지 아닌지 판단하는 것이 먼저임에도 ‘증거 인멸’이라는 언론플레이로 망신 주기에 급급한 그들이다.

중요한 것은 이 모든 논란의 시작은 오랫동안 삼성의 ‘경영 승계’에 딴죽을 걸어왔던 참여연대로부터 출발한다는 점이다. 참여연대 출신 인사들이 권력을 잡으며 해당 수사가 급물살을 탔고 금융 당국, 검찰의 콜라보로 ‘삼성 죽이기’가 막을 올렸다. 이 수사의 끝이 무엇일지 아무도 모른다. 다만 그러는 동안 기업만 죽어날 뿐이다. 

[미디어펜=조우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