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백신과 치료제가 없어 치사율이 100%에 육박하는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북한에서 발병하자 정부가 추가확산 방지를 위한 협력 의사를 북측에 전달했다.
통일부는 지난달 31일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협의를 통해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확산 방지를 위한 협력 의사를 북측에 전달했다고 1일 밝혔다. 통일부는 북측이 ‘내부적으로 검토 후에 관련 입장을 알려주겠다’는 반응을 보였다고 함께 발표했다.
|
 |
|
▲ 사진=농림축산식품부 |
북한 측은 지난달 30일 중국 랴오닝성과 인접한 자강도 우시군의 한 농장에서 ASF가 발견돼 돼지 99마리 중 77마리가 폐사, 22마리가 도살 처분됐다는 내용을 세계동물보건기구(OIE)에 신고한 상태다.
이에 대해 통일부는 "북한 내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 방지와 우리측 지역으로의 유입 차단을 위해서는 남북 협력이 중요한 만큼, 북측과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구체적인 협력방안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지난 2007년 3월 북한에 구제역이 발생했을 때에도 약품과 장비 등 약 26억원 상당의 지원을 실시한 바 있다. 남측 기술지원단도 방북해 북한 방역 상황에 대한 점검을 실시했다.
한편 농림축산식품부는 이번 ASF가 북·중 접경인 북한의 압록강 인접 자강도 우시군 '북상협동농장'에서 발생했지만 남쪽으로 전파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추가 방역을 실시하기로 했다.
우선 남북 접경지역 10개 시·군을 '특별관리지역'으로 정하고, 위기경보 '심각' 단계에 준하는 방역 조치에 돌입했다. 해당 지역은 경기 ▲강화군 ▲옹진군 ▲김포시 ▲파주시 ▲연천군과 강원 ▲ 철원군 ▲화천군 ▲양구군 ▲인제군 ▲고성군 등이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