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114, 19일 오전 서울 광화문 포시즌스호텔서 20주년 기념 '부동산 포럼 2019' 개최
국내 주택·부동산 시장 중장기 전망 예측…일본 사례 통해 향후 직면 과제 짚어보기도
[미디어펜=홍샛별 기자]올해 국내 주택시장이 저점을 통과하고, 장기적으로는 주택 매매가격이 하락세를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수욱 국토연구원 주택·토지연구본부장은 19일 서울 광화문 포시즌스 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부동산114의 포럼에서 ‘주택시장 순환주기와 전망’을 주제로 한 발표를 통해 이 같이 내다봤다. 

올해로 창사 20주년을 맞이한 부동산114는 국내 주택·부동산 시장의 중장기 전망을 예측하고 일본의 사례를 통해 향후 직면할 현안을 짚어보기 위해 ‘부동산 포럼 2019’을 마련했다.

이날 행사에는 학계 인사를 비롯해 업계 관계자, 기자 등 100여 명이 참석했다. 포럼은 1, 2부로 나뉘어 진행됐다. 

1부에서는 이 본부장과 노무라 야스요 일본 아사카 시립대학교 교수가 발제를 맡았다. 

이 본부장은 “전국 주택시장은 2019년 저점을 통과할 것”이라면서 짧은 순환국면을 가정하면 2021년과 2025년, 2029년에 고점이 발생하고, 긴 순환국면이 이어진다면 2022년과 2033년 고점이 나타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어 “인구감소와 저성장의 영향으로 주택 매매가격은 중장기적으로 하락하는 동시에 변동률 또한 축소될 것으로 보인다”고 예측했다. 

노무라 교수는 ‘일본의 인구구조 변화와 주거의 과제’를 주제로 한 발표에서 “일본은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인구 감소로 2013년 13.5% 수준이던 빈집 비율이 2033년 30.4%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면서 “인구 감소 속도가 빠른 지역에 대한 조기 대응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빈집 수가 늘고 또 빈집이 전체 주택 수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늘수록 현재 일본의 주택 가격 상승 국면이 지속되지는 않을 것”이라면서 “일본 국토교통성 역시 ‘임대주택 개보수 사업’ 등을 통해 빈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 19일 서울 광화문 포시즌스 호텔에서 부동산114의 '부동산 포럼 2019'이 열린 가운데, 2부에서 이상영 명지대학교 교수를 좌장으로 △손정락 KEB하나은행 부동산금융부 박사 △송인호 KDI 경제전략연구부장 △최자령 노무라종합연구소(서울) 파트너 등이 패널토론을 진행하고 있다./사진=미디어펜


포럼 2부는 이상영 명지대학교 교수를 좌장으로 △손정락 KEB하나은행 부동산금융부 박사 △송인호 KDI 경제전략연구부장 △최자령 노무라종합연구소(서울) 파트너 등이 패널토론을 진행했다.

손 박사는 국내 주택시장의 중장기 이슈로 ‘부채 관리 문제 부각’을 꼽았다. 손 박사는 “DSR 등 가계 부채 관리 수단이 정교화되면서 부동산 시장의 수요가 점차 약화될 수 있다”면서 “부동산 중심의 가계자산구조, 타국 대비 월등히 높은 자영업 비중 등을 감안할 때, 주택 매입부담을 완화하고 상업용 부동산 시장의 대출 및 상환능력 관리에 정책적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송 부장은 “올해 주택보급률이 106%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향후 소멸위험지역은 지방을 중심으로 빠른 속도로 확대되고 있다”면서 “5대 광역시 인구는 이미 2016년 이후 감소세를 기록하는 만큼 지방을 중심으로 주택 과잉과 부동산 방치 및 공가의 문제가 향후 사회적 이슈로 제기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최 파트너는 주택시장의 중장기적 트렌드 변화에 대해 “1~2인 가구의 지속적 확대, 시니어 1~2인 가구가 중심이 되면서 핵심 지역을 중심으로 집적 현상이 확대되고 도심 및 부도심부의 집적도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진단했다. 최 파트너는 또 지금까지는 주택 가격 상승에 의한 기대치로 투자 수요가 많았다면 이후 중장기적으로는 기대치가 낮아지면서 거주의 질을 중심으로 수요가 변화하고 서비스형 부분이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디어펜=홍샛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