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우리나라 1인가구는 은퇴를 위해 월 123만원의 투자와 저축이 필요하지만 실제론 약 70만원에 그치는 것으로 파악됐다.
23일 지난 4월 수도권과 광역시에 거주하는 만 25∼59세 1인가구 고객 2000명을 설문한 결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19 한국 1인가구 보고서'를 발표했다.
응답자들에게 은퇴 후 대비를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월 저축·투자액을 물었더니 모두 최소 100만원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투자·저축액은 소득에 따라 차이가 더 컸다.
연소득 2400만원 미만인 경우엔 매달 31만원으로 필요액(106만원)의 29%에 불과했다.
연소득 4800만원 이상인 구간에서는 120만원으로, 필요액(162만원)의 74% 수준이었다.
평균적으로 1인가구가 은퇴를 대비해 필요하다고 생각한 연 저축·투자액은 123만원이지만 실제 투자하거나 저축한 액수는 월 70만원 수준이었다.
1인가구가 예상하는 은퇴 나이는 평균 61.3세였다.
남성 1인가구는 61세 이후에 은퇴할 것으로 예상하는 반면, 여성 1인가구는 그 시점을 58세로 전망했다.
작년 기준으로 1인가구가 보유한 평균 순자산은 약 1억3000만원으로 전년보다 845만원 늘었다. 자산의 약 40%는 거주용 부동산이었다.
금융자산의 60%는 예·적금으로 갖고 있었고, 펀드·신탁·보험·주식 등 투자자산은 40대에서 그 비중이 가장 높았다.
대출을 가진 1인가구의 평균 대출액은 6200만원 수준으로, 이들 중 20%가 1억원 이상의 대출을 받았다. 1인가구의 약 87%가 한 개 이상의 보험에 가입했는데, 평균 가입 상품 수는 2.9개에 달했다.
이들은 월평균 123만원을 지출하고 있었다. 소비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항목은 주거비용(약 18%)이었다. 이어 음식·숙박, 식료품·비주류음료, 교육 순이었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