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원우 기자]금융당국이 증권사들의 인수업무 관련 규제 개선에 나섰다. 

금융위원회와 금융투자협회는 금융투자업계 의견수렴 과정에서 건의된 규제개선 과제 중 증권 인수업무 관련 내용에 대한 개선안이 마련됐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개선안에 따르면 전문투자형 사모펀드(헤지펀드)를 운용하는 증권사에 불리하게 작용하던 증권 인수업무 관련 규제가 바뀐다. 아울러 대고객 환매조건부채권(RP)에 편입할 수 있는 외화자산이 늘어난다.

세부내용을 보면, 일단 증권 인수업무 수행과 관련해 경영참여형 사모펀드(PEF)에 비해 헤지펀드에 불리하게 작용하던 기업 보유지분 계산방식이 PEF 기준으로 일원화된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증권사의 경우 이해 상충 방지를 위해 예비 상장기업에 대해 일정 비율 이상의 주식을 보유하면 상장 주관 업무가 제한되고 있다. 그래서 사모펀드를 통해 비상장기업에 투자할 경우 지분 비율 산정방식이 PEF보다 헤지펀드에 불리하게 적용된 측면이 존재했다.

한편 대고객 RP에 편입할 수 있는 외화자산이 'A등급 이상 외국국채'에서 'A등급 이상 국제금융기구 채권', '국내 우량기업의 외화표시채권(KP물)' 등으로 확대되는 내용도 이번 규제 개선안에 들어갔다.

대고객 RP란 채권을 팔았다가 경과기관이 지난 후 이자를 주고 해당 채권을 되사오는 권리가 있는 매매로 일반고객 대상 RP를 대고객 RP라고 명명하고 있다. 이번 조치는 금융투자업자의 국제기구 채권 등 외화자산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대고객 RP 대상 외화자산 범위가 지나치게 협소하다는 지적을 수용한 것이다.

또 한국장외주식시장(K-OTC)의 소액매매에 대한 청약증거금 관리계약 체결의무는 사라지게 됐다. K-OTC에서 이뤄지는 지분율 1% 또는 3억원 미만의 소액매매 시 횡령 등의 청약증거금 유용 가능성이 작다는 판단에 따라 관리계약 체결의무를 면제하기로 했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