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원우 기자]현재 국내에 풀린 일본계 은행의 자금 규모가 지난 5월 기준 25조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위원회는 일본계 은행 국내지점의 총여신(금융감독원 집계)이 5월 말 기준 24조 7000억원을 기록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는 지난 3월 말 기준 21조 9000억원보다 약 2조 8000억원 늘어난 금액이다. 작년 초부터 시작된 일본계 은행의 여신 회수 움직임이 일정 부분 진정 기미를 보였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일본계 은행 국내지점의 여신은 2017년 말 26조원을 고점으로 지난해 9월 23조 5000억원, 지난해 말 22조 8000억원, 올해 3월에는 21조 9000억원까지 감소했다.

국제금융센터는 일본계 은행의 외화 예대율이 높았던 데다 전 세계적으로 위험자산 선호 현상이 줄어들면서 일본계 은행이 대외 익스포저를 줄였다고 분석했다. 지난 3월~5월에는 이러한 여신 회수 움직임에 일부분 변화가 감지됐음을 알 수 있다.

금융위는 지난 5월말 잔액인 24조 7000억원에 대해 "예년 수준으로 다시 증가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김정훈 자유한국당 의원이 금융위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일본계 은행 국내 지점의 여신은 5월말 기준 국내에서 영업 중인 16개국 38개 지점 총여신(98조원)의 25.2%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는 중국(33.6%, 32조 9000억원)에 이어 국가별 기준 2위다. 특히 일본계인 미즈호은행의 여신이 11조 7000억원을 기록, 국내에서 영업 중인 외국계은행 지점 중 가장 많은 액수를 차지한다.

역시 일본계인 미쓰비시UFJ파이낸셜그룹(MUFG)은 8조 2000억원, 미쓰이스미토모 은행 4조 6000억원, 야마구찌은행은 1000억원의 여신을 국내에 운용하고 있다. 지난 6월말 기준 일본 투자자들이 보유 중인 국내 상장증권은 2억 9600만주로 금액으로 따지면 13조원 상당이다.

최근의 한일 관계 악화에 대해 금융위는 ‘금융 부분에서 일본의 보복 조치 가능성과 그 영향은 현재로서는 예단하기 어려우나 충분히 대응 가능하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금융서비스의 경우 일본에 대한 의존도가 크지 않고 쉽게 대체 가능한 서비스 특성을 감안할 때 일본이 보복해도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것이다.

단, 신진창 금융위 금융정책과장은 "관계부처와 함께 현 상황을 엄중히 인식하고 시장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