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원우 기자] 주식 거래(마감) 시간을 30분 연장한 정책이 시행 3년을 맞는 가운데, 거래시간을 ‘원상복귀’ 해야 한다는 의견이 재차 힘을 얻고 있다. 김병욱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금융투자협회 등은 거래시간 연장 효과 등에 대한 대규모 설문조사를 진행해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다. 업계 내부에서도 이번 정책의 실효성에 의문을 갖는 견해가 많지만, 거래시간 재조정에는 신중해야 접근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18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주식거래시간 재조정 논의가 재개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는 작년 11월 이후 약 7개월 만이다. 한국거래소는 지난 2016년 8월 1일부로 원래 오전 9시~오후 3시이던 주식거래 시간을 오전 9시~오후 3시30분으로 30분 연장시켰다. 그러나 증시 활성화를 도모한다는 취지에 대한 실효성 논란이 끊이지 않아 '원상복귀' 의견이 업계 안팎으로 확산된 모습이다.

   
▲ 사진=연합뉴스


우선은 여론파악 과정이 선행될 예정이다. 김병욱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이 다시 한 번 논의를 주도하고 있다. 김 의원실은 작년 9월 첫 회의를 시작해 11월까지 총 네 차례에 걸쳐 회의를 진행했다.

김병욱 의원실은 금융투자협회 등과 함께 거래시간 연장 효과 등에 대한 대규모 설문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안창국 금융위원회 자본시장과장, 이창화 금융투자협회 자본시장 혁신과제 태스크포스(TF) 반장, 김호열 사무금융노조 증권업부문 위원장 등과 함께 각계의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도 진행되고 있다.

조만간 시장참여자를 대상으로 하는 대규모 설문조사도 전개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조사기관 선정 작업이 진행 중인데, 마크로밀엠브레인과 칸타코리아 등이 설문조사 기관으로 물망에 올라 있다. 이달 중 설문기관이 최종 선정되면 본격적인 조사가 이뤄진다.

업계 한 관계자는 “설문조사의 목적인 거래시간과 직접 관계된 사람들의 의견을 나누어서 청취하는 것”이라며 “증권업계 종사자와 개인투자자, 기관투자자 등으로 조사 집단을 분할해 의견을 취합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번 거래시간 재개 논의는 이번 달부터 주52시간 근무가 본격 시행된 점과 맞물려 탄력을 받았다. 마감 시간이 늦어지면 필연적으로 부수적인 근무시간이 늘어나는데, 이는 주52시간 근무제의 취지와 맞지 않는다는 것이다. 게다가 거래시간 연장의 효과가 기대만 못하다는 지적도 계속 나오고 있다.

지난 1분기 코스피 시장의 일평균 거래대금을 보면 5조 381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무려 22.8% 감소한 모습을 보였다. 같은 기간 코스닥 시장은 6조 7806억원에서 4조 611억원으로 40.1% 급감했다. 시행 3년을 맞은 시점에서 거래시간 연장의 효과가 의문시 된다는 지적도 자연스럽게 나오고 있다.

물론 1분기의 급감은 2018년의 거래량이 늘었기 때문이라고 볼 수도 있다. 하지만 이는 2017년 글로벌 증시 호황의 후속효과일 뿐 거래시간 연장과는 큰 관계가 없다는 반론이 나온다. 거래시장 원상복귀 여론을 주도하고 있는 사무금융노조의 한 관계자는 “연간 단위의 거시 데이트를 보면 코스피 일평균 거래대금이 지난 2011년 6조 8631억원의 기록을 넘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라며 “거래시간 연장은 득보다는 실이 많은 정책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설령 제도의 실패를 인정한다 하더라도 원상복귀에는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일례로 정지원 한국거래소 이사장은 원상복귀 논의가 시작될 무렵인 작년 가을 국정감사 현장에서 “투자자나 기업 등 모든 시장 참여자의 의견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이라며 “시간을 두고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업계 다른 고위 관계자 역시 “거래시간 조정은 증시에 전반적으로 큰 영향을 주는 문제이기 때문에 충분한 시간을 두고 결정해야 한다”면서 “재조정이 또 다른 부작용을 낳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판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