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야간에 근무하는 남성의 금연 실패 확률이 주간 근무자보다 3.3배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밤에 근무하는 20~30대 젊은 남성은 10명 중 9명이 담배를 못 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직업환경의학과 김형렬·명준표 교수 연구팀은 국민건강영양조사(2007~2015년) 자료를 활용, 평생 1회 이상 금연을 시도해 본 남성 근로자 4927명의 응답을 분석해 이러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1일 밝혔다.
연구진은 남성 근로자를 19~40세 군과 41~60세 군으로 나눠 근무형태(주간·저녁·야간·교대)에 따른 금연 실패율을 비교했다. 이에 모든 연령대에서 야간 근무자의 금연 실패율이 높았다. 외부 요인을 모두 보정한 결과 야간에 고정 근무하는 남성의 금연 실패율은 주간 근무 남성의 3.3배 달했다.
19~40세 야간 근무자의 금연 실패율은 90.4%로 가장 높았다. 반면 41~60세 중장년층 주간 근무자 금연 실패율은 45.6%로 나이와 근무 형태를 통틀어 봤을 때 가장 낮았다. 단 중장년층에서도 야간 근무 남성의 금연 실패 비율이 73.2%로 같은 연령대에서 가장 높았다.